사회 사회일반

'동네 사무실' 출근 공무원 는다

2015년까지 공공기관 20% 원격근무제 도입

앞으로 도심의 청사로 출퇴근하지 않고 동네의 '스마트 오피스'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이 큰 폭으로 늘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오는 2015년까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의 20%에 원격근무제를 도입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스마트 오피스(Smart Office)'란 도심 외곽 거주자가 도심에 있는 본사 사무실에 출근하지 않고 원격지에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기술(IT) 기반 사무실이다. 예컨대 경기 고양 일산, 경기 성남 분당에 사는 공무원이 서울 광화문 정부종합청사로 출근하지 않고 거주지 근처의 스마트 오피스에 출근, 업무를 수행하는 식이다. 13일 행정안전부와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가 공동으로 내놓은 '스마트 오피스 추진계획'에 따르면 정부부처와 지자체 등 공공기관 가운데 원격근무가 가능한 기관을 2015년까지 20%로 확대할 예정이다. 행안부가 지난해 공공기관 3만7,000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원격근무를 도입하고 있는 곳은 약 1,300개소(3.6%) 정도였다. 행안부는 교통체증이 심해 출퇴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지역, 거주지와 직장 간 거리가 먼 지역을 대상으로 '스마트 오피스' 수요조사를 실시해 올해 안에 14억원의 예산을 들여 수도권에 2곳을 설치할 예정이다. 또 2013년까지 전국에 '스마트 오피스' 22곳을 확충할 계획이다. 행안부의 한 관계자는 "원격근무를 하고 싶어도 인사상 불이익이 돌아올까 걱정하는 이들이 많았다"며 "스마트 오피스에 대한 사회적 인식제고를 위해 공무원 복무지침, 인사 관련 제도, 성과평가 등 규정을 개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관련 예산을 지자체 재원과 민간투자로 조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공공부문을 넘어 사회 전반으로 원격근무 시스템을 확산시키기 위해 민관 포럼을 활성화하는 한편 교육 및 홍보를 통해 캠페인을 전개할 예정이다. 아울러 국가정보화전략위는 범정부적인 스마트오피스 정책협의회와 실무협의회를 구성해 정책을 구체화하고 녹색성장위원회와 협력할 계획이다. 박성일 행안부 정보화기획관은 "올해 시범사업으로 구축될 2개소의 스마트 오피스에는 공무원뿐 아니라 민간 근무자도 활용할 수 있는 혼합형 오피스로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