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에셋 플러스] 증권사 추천주 '빙그레'

바나나맛 우유·메로나 해외서도 빙그레~<br>'바나나맛 우유' 중국 수출, 올 200억으로 급증 기대<br>'메로나'는 국내매출 앞질러

브라질 시민들이 빙그레가 현지에서 판매중인 '메로나'를 맛 보며 즐거워하고 있다. 빙그레는 '바나나맛 우유'와 '메로나' 등 효자상품을 중심으로 해외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사진제공=빙그레



지난 해 11월 8일 국내 식음료업계의 시선이 빙그레에 쏠렸다. 미국 재정절벽 우려와 유럽 재정위기 등으로 글로벌 경기 침체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서도 한층 향상된 3ㆍ4분기 실적을 공개했기 때문이다. 당시 빙그레가 밝힌 3ㆍ4분기 매출액은 2,568억원으로 2011년 같은 시기보다 13.1% 늘었다. 영업이익도 365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보다 38.4% 급증했다. A+급 성적을 발표하면서 이날 빙그레 주가도 장 중 13만5,000원을 찍으며 52주 신고가를 다시 썼다.

빙그레가 중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 확대를 기반으로 또 한번의 성공 신화에 도전하고 있다. '바나나맛 우유'와 '요플레', '메로나' 등 국민적 사랑을 받고 있는 브랜드를 중심으로 해외시장 개척에 나서면서 이미 한 단계 높은 성장을 예약한 상태다.


해외시장 개척의 선봉은 단연'바나나맛 우유'다. 2004년 미국 시장을 필두로 수출이 시작한 '바나나맛 우유'는 현재 캐나다와 중국 등 10여 개국에서 판매 중이다.

특히 지난 해 5월부터 중국 수출 물량이 증가하면서 지난해 현지 매출액만 100억 원 가량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빙그레 측 관계자는 "지난해 중국 시장 내 '바나나맛 우유' 매출액은 100억원 가량으로 2011년보다 10배 정도 늘어날 전망"이라며 "현지 딜러 확대와 신규 유통채널 진출 등 공격적 마케팅으로 올해는 수출 규모가 200억원 가량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멜론 맛 아이스크림의 대명사로 자리잡은 '메로나'도 빙그레에 있어 전통적인 효자상품이다. 특히 지난 해에는 해외 매출 규모가 국내 매출액을 앞서며 글로벌 시장 개척의 1등 공신으로 꼽히고 있다. 현재 '메로나'가 수출되는 국가는 총 30여 개국으로 멜론 외에 딸기와 바나나, 망고 등 현지 소비자 입맛에 맞춘 '맞춤형' 제품으로 시장 공략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빙그레 측 관계자는 "주력 제품과 고부가가치 상품의 꾸준한 매출 증가와 해외 시장 공략으로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게 회사 핵심 전략"이라며 "올해 중국은 물론 남미나 동남아시아에 냉동시스템을 설치해 유통망을 확대해 글로벌 현지시장에서의 위치를 한층 공고히 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 관계자는 이어 "소비자 기호에 맞춘 다양한 상품 출시는 물론 음료 전방에 대한 사업 확장도 추진 중"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빙그레는 지난 해 5월 소비자 입맛에 맞춰 '바나나맛 우유 & 토피넛'을 출시한 바 있다. 또 2008년 '아카페라'를 선보이며 커피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데 이어 지난 해 10월 합성첨가물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 원료를 그대로 살린 첫 냉장 프리미엄 주스 '따옴'을 출시한 바 있다.

빙그레 측 관계자는 "2008년 5,936억원, 2009년 6,286억원에 이어 2010년 6,849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해 3년간 누적 신장률 25% 의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며 "2011년에도 매출액 7,200억원으로 사상 최고 실적을 나타냈다"고 말했다. 이어 "이 기간 영업이익률도 평균 9% 대로 동종업계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며 "빙그레는 앞으로도 기존 효자 제품에 주력하는 한편 소비자 기초에 맞춘 상품 개발, 고부가가치 제품 출시, 해외 시장 공략 강화 등으로 매년 성장하는 성공신화를 써내려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업계 최고 영업이익률… 수출 늘어 고성장 예고

김민정 KTB투자증권 연구원

애널리스트가 본 이회사

빙그레는 국내 유가공업계 카테고리(백색우유ㆍ발효유ㆍ가공유ㆍ치즈 등) 가운데 가공유 시장에서 '바나나맛 우유'라는 장수 제품으로 1위, 아이스크림 시장에서 2위 등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는 업체다. 지난해 약 8,000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해 지난 5년간 매년 약 8%의 연평균성장률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성장률은 매출성장률보다 높은 약 10%를 나타냈다.

가공유 대표제품(바나나맛우유)과 호상발효유(요플레) 단 두 제품 매출이 전체 매출의 약 30%를 차지하며 전체 SKU(재고 가져가는 품목라인) 수가 경쟁사 대비해 작다. 이에 따라 고정비 절감은 물론 이 두 제품이 워낙 장수제품이다 보니 마케팅 비용을 거의 쓰지 않고도 꾸준한 매출액과 이익이 창출되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가공업계 내 가장 높은 이익률(5년 평균 영업이익률 8.5%) 수준을 시현하고 있다.

이런 빙그레가 2012년 큰 일을 저질렀다. 2000년 초반 이후 전체 매출의 약 2~3% 수준인으로 100억~200억원대를 기록하던 수출이 2012년 약 500억원으로 크게 뛴 것이다. 북미와 남미 지역으로의 아이스크림, 러시아 지역 스낵 등으로 제한적이던 수출이 2012년 '음식한류(K-Food)'바람을 타고 중국에 유제품 판매까지 시작하게 된 것. 이에 따라 중국 수출 기대감으로 빙그레 주가는 2011년 연말 6만원 대에서 지난해 11월 13만원 대까지 두 배 이상 뛰었다. 2012년 연간 시장수익률만도 74% 를 웃돌았다.

올해 수출 역시 전년 대비 60% 정도 증가한 800억원대로 고성장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아이스크림 판매가 북미와 남미 지역 판매채널 확대는 물론 동남아 지역까지 확대되고 있고, 중국 유제품 수출의 경우 우리 제품 독점대리상(Agent)를 통해 상해 외 대도시 지역으로의 편의점 판매망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무조건적인 물량 정책보다 브랜드를 유지하기 위한 고가격전략(Pricing power)을 유지한다는 계획으로 중장기 브랜드 빌딩을 위한 옳은 전략이라고 판단된다. 수출비중은 2012년 전체 매출의 약 6% 수준이나 2015년에는 약 13%에 도달하면서 전체 기업의 성장동력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