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박홍진의 할리우드 21] 콜롬비아사 작품 홍보 비리 들통나 '대망신'

[박홍진의 할리우드 21]콜롬비아사 작품 홍보 비리 들통나 '대망신' 콜롬비아사가 가공의 영화 비평가 데이빗 매닝을 이용해 지난 1일 개봉된 볼품없는 코미디'짐승'(Animal)을 칭찬하는 글을 광고에 실었다가 들통이 나 큰 망신을 당했다. 콜롬비아는 현재 상영중인 '짐승'과 '기사의 이야기'(A Knight's Tale) 외에 '투명인간'(Hollow Man)과 '버티칼 리미트'(Vertical Limit)의 선전에도 매닝의 찬사를 사용한 것이 밝혀졌다. 이런 사실이 뉴스위크에 의해 폭로되자 콜롬비아사의 모회사 소니 엔터테인먼트는 자체 조사 끝에 이 같은 망발의 장본인인 2명의 광고국 고급간부에게 30일간의 정직처분을 내렸다. 그런데 이런 스캔들이 터진지 얼마 안돼 콜롬비아사는 지난 여름에도 멜 깁슨 주연의 '애국자' TV선전용으로 자사 두 남녀 직원을 관객으로 위장시켜 이 영화를 "최고의 데이트 영화"라고 칭찬했던 모습을 사용한 것이 드러났다. 한편 일단의 소비자들은 최근 소니사를 상대로 콜롬비아사가 관객을 오도했다는 이유로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콜롬비아사가 사기를 치면서까지 영화선전에 비평가의 글을 싣는 까닭은 비평가들의 반응이 영화흥행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미국에서는 10대용 액션영화나 섹스코미디를 제외한 대부분의 나머지 영화들은 비평가들의 반응에 따라 흥행이 좌지우지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디즈니가 올여름 최고의 히트작이라고 큰소리를 했던 '진주만'의 흥행성적이 예상치를 훨씬 밑도는 큰 이유중 하나도 이 영화가 전국적으로 부정적 반응을 받았기 때문이다. '진주만'과 '툼 레이더'같은 메이저들의 대형 액션 영화들은 그래도 비평가들의 반응에 덜 영향을 받는 편이다. 비평가들의 절대적 영향을 받는 영화들은 인디펜던트영화와 외국어 영화들. 이들 경우 비평가들의 반응이 부정적이면 그 영화의 장사는 망했다고 봐도 좋다. 이런 영화들의 홍보를 대행하는 군소회사들은 시사회 후 비평가들의 반응을 전화로 물어 부정적일 경우 영화상영을 미루거나 아예 포기할 때도 있다. 기자도 매번 이들의 전화를 받는데 영화가 신통치 않을 경우 마치 죄지은 사람처럼 "Sorry"까지 달아가며 답해주곤 한다. 비평가들의 자격과 질도 천차만별이다. 요즘 여기서 상영중인 졸작공상과학코미디 '진화'(Evolution) 광고에 실린 '올 여름 최대의 경이적 작품'이라는 평은 런치 라디오 네트웍의 스티브 레어볼리노라는 비평가(?)의 말이다. 그러나 아마도 이 방송국과 스티브의 정체를 아는 사람은 스티브 하나 밖에 없을 것이다. 형편없는 영화일수록 정체불명의 미디어 소속 무명 비평가들의 칭찬을 싣기 마련. 이들은 대부분 메이저가 베푸는 호화판 선전 파티인 정킷(Junket)에 몰려다니는 단골 정킷티어들이다. 영화사들은 전국에서 이들을 LA나 뉴욕으로 불러들여(항공료 공짜) 고급호텔에서 재워주고 먹여주고 용돈과 선물까지 제공해 가며 배우나 감독과 인터뷰를 하게 한다. 이런 대접을 받고 부정적 평을 할 정킷티어는 없게 마련이다. 영화사들은 종종 이들에게 회사가 필요한 인용구와 비평의 윤곽까지 넌지시 제공하기도 한다. 콜롬비아의 해프닝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사람들은 관객 뿐만이 아니다. 진짜 비평가들의 존재와 가치마저 상처를 입게 됐다. /한국일보 LA미주본사편집위원ㆍLA영화비평가협회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