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작년 서울 주택보급률 89.2% 불과

경기도는 2년째 하락, 수도권 주택난 개선 안돼

서울의 주택보급률이 여전히 9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2년 연속 9만가구의 주택이 공급됐음에도 불구, 인구집중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보급률은 2년째 하락했다. 21일 건설교통부가 집계한 `2004년 시.도별 주택보급률(추정치)'에 따르면 전국주택보급률은 가구수 1천271만4천가구, 주택수 1천298만8천 가구로 102.2%를 기록했으나 서울은 가구수 255만4천가구, 주택수 227만8천가구로 보급률이 89.2%에 그쳤다. 이같은 서울의 주택보급률은 2001년 79.7%에 비해 3년만에 10% 가까이 증가한것이나 여전히 전국 평균에 크게 못미쳐 집값 불안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는 가구수 272만6천가구, 주택수 261만3천 가구로 보급률이 95.8% 불과했다. 경기도의 주택보급률 하락은 2002년 97.7%로 정점을 이룬 뒤 2003년 96.4%에 이어 2년 연속이다. 이에따라 수도권 주택보급률은 2001년 88.6%에서 2002년 91.6%로 반짝 높아진이후 2003년 92.8%, 지난해 93.9%로 증가폭이 둔화됐다. 지역별로 보면 가장 주택보급률이 낮은 곳은 대구로 87.8%에 그쳤으며 전남이 126.8%로 가장 높았다. 나머지 지역의 주택보급률은 부산 97.3%, 인천 103.5%, 광주 98.2%, 대전 99.7%,울산 97.3%, 강원 120.1%, 충북 114.7%, 충북 125.4%, 전북 118%, 경북 120.2%, 경남 111.8%, 제주 108.8% 등이었다. 이번 통계는 가구수의 경우 통계청의 1995년, 2000년 총주택인구조사 결과의 시도별 연평균 증가율을 적용하고 주택수는 매년 사용검사 주택 수와 멸실 주택수를시.도로부터 제출받아 산정됐다. 건교부 관계자는 "서울과 경기도의 낮은 주택보급률은 최근 서울 강남과 경기분당, 용인, 과천 등에서 나타난 집값 급등세의 원인중 하나"라면서 "꾸준한 신규택지 공급과 재건축.재개발을 통한 주택공급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유경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