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는 9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을 통해 "내수 회복세가 강화되고 있으나 메르스 관련 상황으로 대내 불확실성이 확대됐다"고 밝혔다.
메르스 사태가 확산되기 이전인 5월까지만 해도 소비지표는 꾸준한 개선세를 보여왔다. 저유가와 지난해 말 있었던 금리 인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탓이다. 실제로 기재부가 내놓은 5월 소매판매 속보치를 보면 백화점 매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3.6%가 늘었다. 대형마트 매출도 0.3%가 증가했다. 세월호 참사 이후 명절 특수가 있었던 달을 제외하면 줄곧 이어진 내리막길에서 막 벗어나려던 찰나였다.
하지만 메르스 관련 사망자들이 나오기 시작한 6월 들어서 분위기가 급반전했다. 전염 우려 탓에 국민들이 바깥활동을 줄어들면서 소비가 위축된 탓이다. 여기에 중국인 관광객마저 급감했다. 최 경제부총리가 10일 주재하는 경제장관회의에 '메르스 관련 경제동향 및 대응방향'을 긴급 안건으로 올리는 기민한 대응을 보인 것도 최근의 상황을 나타내는 대목이다.
기재부의 한 관계자는 "메르스가 발병한 5월에는 (소비에) 별 영향이 없는데 사망자가 발생한 후 우려되는 부분은 분명히 있다"면서도 "다만 온라인 판매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어떨지는 지표를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을 아꼈다.
메르스 사태가 3차 유행으로까지 번질 경우 이달 말 예정됐던 하반기 경제운용방향 발표 일정도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지표의 향방에 따라 추경을 포함한 경기대응책 수위를 결정해야 하는데 몇몇 속보치의 1~2주간 실적으로는 이를 결정하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기재부 내부에서도 일정을 미뤄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정부는 메르스로 인해 경제회복의 불씨가 꺼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방침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메르스 조기종식을 위해 범정부적 역량을 집중하는 한편 소비·서비스업 등 분야별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대응책을 신속히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