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김우중, 그가 돌아왔다] "철저하게 수사해야" 한목소리

정치권 재산환수·특별검사제도 도입등 주장도<br>민노당 "양비론적 태도 우려" 한층단호

정치권은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한 목소리로 촉구했다. 또 김 전 회장의 책임론이 거론되는가 하면 엄정한 법 집행과 재산환수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김 전 회장을 옹호하는 입장에서는 당시 사안에 대안 명백한 규명을 위해 특별검사제 도입, 국회 청문회 실시 등의 방안을 내놓았다. 강봉균 열린우리당 정책위 수석부의장은 14일 자신의 홈페이지를 통해 “대우그룹의 해체는 시장의 신뢰를 상실한 김우중 전 회장이 스스로 자초한 결과”라고 밝혔다. 대우그룹 해체 당시 재경부 장관이었던 강 부의장은 “대우그룹의 해체 과정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들리고 있지만 이는 당시 시대상황을 잘못 이해하는 데서 비롯된 것”이라며 이같이 설명했다.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대우그룹 타살설을 일축하고 김 전 회장의 책임론을 부각시킨 것이다. 강 부의장은 정치적 판단 논란과 관련, “국제통화기금(IMF) 위기극복은 관치금융의 폐해를 치유하는 것이었다”며 “부실 대기업을 정부가 선별적으로 구제하는 것은 바로 관치금융의 부활을 의미했기 때문에 당시 정부로서는 전혀 불가능한 일이었다”고 해명했다. 당시 5대재벌 중 대우그룹만이 퇴출된 것에 대해서는 “IMF 위기 당시 5대재벌의 구조조정은 전경련을 중심으로 자율적 추진을 원칙으로 했다”며 “김 전 회장은 당시 전경련 회장으로서 대통령을 비롯한 경제장관들과도 가장 의사소통을 잘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불이익을 당할 가능성은 거의 없었다”고 말했다. 옛 대우경제연구소장을 지냈던 이한구 한나라당 의원은 김 전 회장뿐만 아니라 당시 정책당국자들의 잘잘못을 따지자는 차원에서 특별검사제를 도입하거나 국회 청문회를 실시할 것을 주장했다. 이 의원은 14일 한 라디오방송과의 전화인터뷰에서 이 의원은 “외환위기 수습과정에 재계와 당시 정권하고는 의견차가 상당히 있었고 국내자본과 국제자본과의 마찰도 있었다”면서 “그 분이 그런 많은 정보를 정확하게 국민들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기회 마련이 지금 시점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노동당 쪽 목소리는 한층 단호하다. 천영세 민노당 의원은 14일 의원단 총회에서 “정치권에서 김 전 회장에 대해 공과를 참작해야 한다는 식의 양비론적 태도가 있는데 우려스럽다”며 “김 전 회장에 대한 각 당의 태도는 과거 정경유착 고리의 청산의지에 대한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민노당은 검찰수사가 미진할 경우 특검이나 국정조사ㆍ청문회 등을 각 당에 제안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