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삼성경제硏] 인터넷기업 글로벌 네트워크 시급

삼성경제연구소는 27일 「국내외 인터넷비즈니스 선도기업의 전략 및 시사점」보고서에서 국내 인터넷 선도업체들은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차별화된 서비스제공 노력에도 불구하고 취약한 인프라와 협소한 국내시장 등의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핵심역량을 강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장영(張瑛) 수석연구원은 『기존의 단체들보다 사이버 공동체는 확보된 회원들이 이탈되기 쉽다』며 『인터넷 사업 전략의 초점은 사이버 공간상에서 회원과 고객들이 자유롭게 교류해 「공동체의식」을 갖도록 여건을 조성해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인터넷 업체들은 회원들의 관심을 충족시켜 주도록 다른 업체들과 연계해 다양한 내용을 제공』하며 『가상공동체가 계속 분화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팽창하는 인터넷 시장과 국내 기업들의 문제점=국내시장은 초기 성장단계로 올해 4,1000억원에서 2003년에는 3조 6,000억원 규모로 급성장 할 전망이다. 인터넷 이용자수도 99년 10월말 현재 600만명을 돌파했다. 연구소는 국내 인터넷 비즈니스 선도기업을 야후코리아, 다음 커뮤니케이션, 골드뱅크, 네이버(이상 포털), 인터파크, 한솔CSN, 삼성물산, 코즈메틱랜드(이상 판매), 대신·세종증권, 인터넷경매(이상 중개 및 경매), 지식발전소, 오픈타운,넥슨(컨텐츠)등 분야별로 14개사를 선정했다. 해외 선진기업들의 경우, 벤처 비즈니스에서 출발한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이들 국내 선도기업들은 기술·자금력 등 보유자원을 활용해 시장에 진입한 경우가 많았다고 비교했다. 또 대부분의 국내 기업들이 1대 1 마케팅과 서비스 차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사업 초기 단계에 제공하는 컨텐츠나 서비스의 질은 아직 낮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국내업체들은 관련 업체들간의 제휴를 적극 모색하고 있지만 미국기업들처럼 인수·합병이 활성화되지 않았고 특히 회원들간의 소모임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인터넷 비즈니스의 성공 요소=인터넷 사업은 기존의 사업과는 달리 「가상사회에의 진입- 생존- 성장」의 단계별로 새로운 수익창출 원리를 요구한다. 인터넷 가상사회는 단순한 시장이 아니라 광속에 의한 상호학습과 파급확산이 일어나는 새로운 형태의 사회조직으로 이러한 특성을 잘 이해하는 기업들만이 향후에 생존이 가능하다. 단계별 효과적인 성공전략은 다음과 같다. 진입단계에는 단순한 저가전략을 지양하고 차별화된 아이디어로 고객을 선점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브랜드, 운영체계, 고객기반 등 기존의 강점을 충분히 활용,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진출하는 게 유리하다. 생존단계에는 다양한 고객 유인·보상책을 마련해야 한다. 개별 고객의 입맛에 맞는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일대일 마케팅을 활성화해야 한다. 목표고객층을 세분화해서 공략하는 표적마케팅을 전개해야 한다. 또 고객의 흥미뿐만 아니라 상품·서비스에 대한 신뢰감을 강화할 수 있는 풍부하고 차별화된 컨텐츠를 제공하고,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고객들에게는 차별화된 금전적·비금전적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성장단계에서는 특정 사업분야에 대한 경쟁우위 확보에 우선 주력해서 핵심사업의 집중적인 육성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국내외 최적의 업체와 제휴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회사와 고객, 회원과 회원간의 다방향 대화가 가능하도록 사모임을 활성화시켜 공동체의 유대를 강화해야한다. 아울러 세계화를 추진하되 사업분야에 따라 주력시장을 차별화해서 해외시장을 적극 개척해야 한다. 전용호기자CHAMGIL@SED.CO.KR

관련기사



전용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