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줄기세포 허브' 살린다

동물복제 기술등 지속적 육성…정부, 상반기중 종합계획 마련

정부가 황우석 교수 사태로 물거품이 될 위기에 놓인 줄기세포 허브 살리기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이를 위해 상반기 중 범정부 차원의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정부는 11일 이해찬 국무총리 주재로 국정현안 정책조정회의를 열어 황 교수 사태 이후 생명공학 발전을 위해 이 같은 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우선 경쟁력 있는 기술로 평가된 동물복제와 배반포 형성 기술을 지속적으로 육성, 발전시키기로 했다. 또 줄기세포 허브를 재추진하기 위해 올해 상반기 중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을 내놓기로 했다. 이와 함께 황 교수에게 부여한 ‘제1호 최고 과학자’ 지위를 취소하고 황 교수의 정부 관련 공직을 사퇴 처리하기로 했다. 또 감사원은 황 교수 연구팀에 대한 연구비 집행내역과 줄기세포 연구결과 검증체계 등을 중점 감사하기로 했다. 한편 정운찬 서울대 총장은 이날 대국민 사과성명을 발표하고 “황 교수 연구팀이 과학자로서 도저히 해서는 안 될 일을 저질러 국내와 전세계 과학공동체에 오점을 남긴 데 대해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연구진실성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관련제도를 정비해 다시는 이번 논문조작 같은 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