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태극기..'등 영화 2편이 4천600개 일자리 창출

'실미도'와 `태극기 휘날리며' 등 2편의영화가연간 4천600개의 일자 리를 창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형승용차 2만2천대 생산이 가져오는 일자리 수와 같다. 또 영화 수출도 5년만에 5배로 폭증해 산업 전반의 취업과 부가가치 생산에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영화산업의 경제 파급효과를 산업연관표로 분 석한 결과영화가 산업전반에서 일으키는 생산, 부가가치, 취업인원 등의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일 현재 `실미도'는 775억원(관객 1천107만명), `태극기휘날리며'(관객1천115만명)는 781억원 등 1천556억원의 흥행 수입을 거뒀다. 영화산업의 취업유발계수가 산출액 10억원당 연간 30명이므로 `실미도 '는 2천330명, `태극기 휘날리며'는 2천340명 등 연인원 4천670명의 취업을 유발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중형 승용차인 `EF소나타' 2만2천200대를 생산했을 때와 같은고용효과라고 한국은행은 밝혔다. 또 ▲1999년의 `쉬리' 흥행수입 360억원 ▲2000년 `JSA' 350억원 ▲ 2001년 `친구' 574억원 ▲2002년 `가문의 영광' 354억원 ▲2003년 `살인의 추억' 357억원 등까지 포함하면 7편의 영화만으로 연인원 1만650명의 고용 을 가져왔다. 영화는 직접적인 제작 및 배급 뿐 아니라 필름 등 영화관련 전후방 산 업에서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을 일으킴으로써 여러 분야에서 취업자를 확대하게 된다고한국은행은 설명했다. 이와 함께 `실미도'의 전후방 생산 유발액은 1천494억원, `태극기휘 날리고'는1천506억원으로 이들 영화 2편이 산업전반에 모두 3천억원의 생산을 일으켜EF소나타 8천42대를 생산할 때와 같은 효과를 거뒀다. 또 산업전반에 미친 부가가치 유발액은 `실미도' 658억원, `태극기 휘 날리고' 663억원 등 1천321억원으로 승용차 1만2천200대분의 효과와 같았다. 아울러, 작년 영화수출액은 369억원으로 전년(187억원)의 2배에 달했다. 영화 수출액은 지난 1999년 71억원에 머물렀으나 2000년 80억원, 2001년145억원 등으로 늘어나고 있다. 영화 수출이 작년에 일으킨 취업유발인원은 1천107명으로 전년의 561명에비해2배정도로 늘어났고 생산유발액은 361억원에서 711억원으로, 부 가가치유발액은159억원에서 313억원으로 각각 증가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한국영화 관객수는 1998년 1천259만명에서 2003년에는 5천820만 명으로 5년만에 5배로 증가했다"고 전하고 "영화산업은 제조업처럼환경문제를일으키지 않으면서 관객만 증가하면 연쇄적으로 부가가치가 늘어나므로 21세기에 육성해야할 전략사업 중 하나"라고 말했다. /연 합 뉴 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