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영악한 '은행' 뒤통수 친 '소비자'

고금리만 챙기는 '체리피커'들 등장

은행들이 제시하는 고금리 상품의 미끼만 재빨리 빼 먹고 달아나는 속칭 '체리피커'들이 등장, 은행들을 당혹스럽게 하고 있다. 이들 체리피커들은 최근 은행권의 수시입출금식예금(MMDA) 특판 상품에 가입했다가 고금리 적용 기간이 끝나면 바로 다른 금융상품으로 옮아가는 영리한(?) 행동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하나은행은 지난 9월20일부터 30일까지 금리를 5천만원 이상~1억원 미만 MMDA에 가입하면 종전보다 1.1%포인트 높은 3.3%, 1억원이상은 종전보다 0.8%포인트 높은 3.5%를 지급하는 특별판매 행사를 벌여 3조8천억원의 단기자금을 끌어 모았다. 투신사가 판매하는 머니마켓펀드(MMF)가 익일환매제로 전환되는 것과 관련, 저원가성 예금을 유치하는 전략으로 고금리 적용 마지막날인 10월15일이 지나면 일부예금이 빠지겠지만 신규 유입액의 일정부분은 남지 않겠느냐는 영리한 계산이 적용됐다. 통상적으로 MMDA는 은행의 자금 조달원 중 비용이 싼 편이다. 하지만 15일이 지나는 것과 동시에 특판 MMDA는 썰물처럼 빠져나갔다. 8월말 기준 15조1천억원이던 요구불예금 잔고는 특판예금이 마감된 9월말 19조3천억원까지 불어났지만 10월말엔 다시 14조7천억원까지 떨어졌다. 특판으로 유치한 3조8천억원에 8천억원이 더 빠져나간 셈이다. 은행권은 이같은 현상이 발생한 배경으로 10월초에도 다른 은행들의 특판이 지속됐기 때문이라고 풀이한다. 즉, 하나은행의 MMDA 특판에서 고리 이자를 챙긴 고객들이 또 다시 다른 은행을찾아 나선 것이다. 카드사들 역시 카드 사용은 하지 않으면서 영화할인 등 혜택만을 누리는 '체리피커'를 막기 위해 매월 일정 금액을 사용하는 소비자에 한해 월간 한도수를 정하고 할인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