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암환자 26% 1년내 실직

조기실직 위험은 여성이 1.6배 높아<br>국립암센터 추적 조사… 30%만 5년내 직장복귀

암환자 4명중 1명은 암진단을 받은후 1년 이내에 실직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단은 2001년 암 진단을 받은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5,396명을 6년간 추적조사한 결과 25.9%의 암환자가 1년내 실직했으며 이들중 약 30%만 5년내 직장에 복귀했다고 13일 밝혔다. 또한 절반가량인 47%의 환자가 6년내 실직한 것으로 관찰됐다. 이처럼 암환자의 실직과 복귀 현황을 포괄적으로 밝힌 연구결과가 나오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조기 실직할 위험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1.6배 높았고 민간기업 직원이 공무원ㆍ교직원보다 1.4배 많았으며,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더욱 높았다. 또한 직업복귀를 하지 못할 위험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2배, 50대 이상 연령층이 30~40대에 비해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종류별로는 백혈병, 뇌ㆍ중추신경계 암, 폐암, 간암의 경우 다른 암환자에 비해 더 빨리 실직하거나 직업복귀가 늦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재현 국가암관리사업단 암정책지원과장은 "암 환자의 성ㆍ연령ㆍ직업ㆍ암종에 따라 실직과 직업복귀에 차이가 있음을 규명한 최초의 연구"라며 "미국ㆍ유럽은 암 환자가 실직하거나 감봉 및 업무전환 등의 조치로 차별받지 않도록 하는 법령을 제정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도 관련 법령을 만들고 암환자를 차별하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암치료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 ‘임상종양저널(Journal of Clinical Onc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