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U턴기업 입지·세제 지원 늘려야"

해외진출 기업 절반 "돌아오고 싶다"<br>中등 규제강화 따라 철수 고려 업체 많아<br>청년 실업 해소등 위해 전략적 접근 필요


조선기자재 업체인 D사는 지난해 중국에 생산시설을 짓는 데 전체 투자비의 50%를 쏟아 붓고도 결국 철수결정을 내려야 했다. 위안화 강세로 당초 예정보다 건설비용이 크게 늘어난데다 중국 정부의 지원까지 축소되자 투자 메리트가 사라졌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중국 진출을 포기하고 국내 공장 2곳의 설비를 늘려 가동하고 있다"며 "비슷한 시기에 중국에 진출했던 업체 중 상당수도 국내로 물량을 이전하는 문제를 고려하고 있으며 복잡한 청산절차만 없다면 U턴도 가능하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국과 동남아 등 해외에 진출한 기업들이 인건비 상승과 규제조치 강화 등에 시달리면서 국내로 U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산업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U턴 기업에 대한 파격적인 입지ㆍ세제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 금형이나 봉제 등 임가공 분야의 경우 생산단가 및 품질 수준에서 국내 생산이나 중국산 제품에 큰 차이가 없어 일부 생산라인이 국내로 회귀하거나 중국에 몰려갔던 바이어들까지 한국으로 주문을 돌리는 사례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안투자처로 떠올랐던 동남아마저 저임금 시대가 점차 막을 내리고 있는데다 국내 생산성 향상, 기술유출 우려 등을 감안할 때 어느 때보다 U턴 현상이 활성화할 분위기가 무르익었다고 판단하고 있다. 경기개발연구원에 따르면 중국에서 활동하는 국내 기업의 절반 정도가 국내 기업환경이 좋아진다면 U턴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해 아예 U턴 의향이 없다는 기업(24.2%)을 훨씬 웃돌았다. 하지만 해외진출 기업들은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만한 수준의 노동력 확보나 저렴한 공장부지 제공, 까다로운 입지절차 등을 U턴을 가로막는 걸림돌로 제시해 글로벌 경영환경 변화에 맞선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정부도 지난해 말 U턴 기업에 개별 지방공단의 입주우선권을 부여하고 소득세와 법인세 감면혜택 등을 제공하는 등 U턴 지원책을 내놓고 있지만 아직 기업들의 마음을 사로잡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내 기업들의 U턴이 일자리 창출과 생산기반 재정비 등 경제적 효과를 낼 수 있는 만큼 파격적인 수준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전반적인 투자환경 인프라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권혁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특히 기업 소프트웨어를 아웃소싱하는 IT 벤처기업이나 서비스 기업의 회귀는 청년실업 해소 등과도 곧바로 연결될 수 있다"며 "보다 전략적인 차원에서 해외진출 기업의 U턴을 적극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