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윤리 위반' CEO들 잇단 낙마

WSJ "기업 이사회가 적기에 적절한 조치 취해야"

BP의 존 브라운 CEO

기업윤리 규정 위반으로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의 낙마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기업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해당 기업의 이사회가 적기에 적절한 수위의 대책을 내놓아 대응해야 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9일 보도했다.


엔론사와 월드컴의 회계부정 사건을 계기로 마련된 사베인스-옥슬리 법에 따라 기업윤리와 도덕적 잣대가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하게 적용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그 법망에 걸려 퇴진하는 경영자가 줄을 잇고 있다.

관련기사



세계 최고의 컴퓨터 제조업체 휴렛-패커드(HP)의 마크 허드 CE0는 지난 6일 성희롱 문제가 불거지면서 낙마했다. 지난 2007년에는 BP의 존 브라운 CEO가 언론의 사생활 보도를 저지하는 사건과 관련하여 판사에게 거짓 진술을 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사임했다. 또 지난 2005년 월마트의 토머스 코플린 부사장이 경비유용, 회계부정 등으로 총 50만 달러를 착복한 혐의를 받고 자리에서 물러나고 말았다.

WSJ은 "CEO 윤리 사건이 터졌을 때 해당 기업 이사회는 기업 가치를 최대로 유지하기 위해서 사건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적기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등 기민하게 대응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사건 발단 초기에서 전모를 확인하지 못하고 성급하게 잘못된 조치를 내릴 경우 멀쩡한 인사를 쫓아내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역으로 진상 확인을 위해 시간을 끌 경우에는 사건을 은폐한다는 인상을 줄 수 있어 여론의 뭇매를 맞을 수 있다고 신문은 분석했다.

이사회는 문제가 된 사건의 공개 수위에 대해서도 고민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인터넷이 발달한 상황에서 시대조류에 역행해 기업 비밀을 숨기기에 급급 하다가는 역습을 당할 위험이 있지만, 기업기밀을 어느 정도 보존해 기업의 명성을 유지하는데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