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즐거운 추석] "한복도 체형에 맞게 입어야 맵시나요"

[한복입기·절하기]<br>女마른체형 화려하고 볼륨있게 통통族은짙은색 상하의 선택을<br> 男바지 입을땐 큰사쪽이 오른쪽<br>천연섬유는 드라이해서 보관 합성섬유는 살살 비벼 손빨래<br>장기보관땐 반드시 방충제 둬야

사진제공=예닮한복

한가위에 조상들을 잘 모시기 위해 정갈한 한복을 예법에 맞게 잘 차려 입는 것은 필수다. 특히 자신의 몸에 잘 맞는 한복을 고르고 사용 후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올바르게 보관하는 방법도 잘 알아두어야 한다. 이주원 이마트 패션담당 바이어와 이애리 옥션 여성의류팀장에게 한복 입는 법과 보관법에 대해 들어봤다. ◇체형에 맞는 한복은 따로 있다=아무리 화사한 디자인의 한복이라도 자신의 체형에 맞지 않으면 옷맵시가 전혀 나지 않는다. 목이 굵거나 짧으면 저고리 깃이 좁고 긴 것을 고르고 목이 가늘거나 길면 넓고 짧은 저고리 깃을 찾는 것이 원칙이다. 마른 체형이라면 화려한 스타일로 볼륨감이 있어 보이도록 한다. 통통하다면 배자를 덧입고 아얌, 노리개, 배씨끈 등의 한복소품을 이용하거나 저고리 소매 끝동이나 목선에 수가 있는 것을 골라 시선을 분산시키는 것이 좋다. 키가 작고 마른 체형의 경우 치마보다 짙은 색의 저고리를 고른다. 무늬는 작고 화사한 것이 좋다. 반대로 키가 작고 통통하면 남색이나 진한 자주색 등 어두운 색 치마에 동색계통의 저고리를 맞춘다. 키카 크고 마르다면 넓은 통에 주름이 촘촘히 잡힌 치마가 좋다. 저고리는 약간 길게 하고 상·하복는 다른 색을 고른다. 키가 크고 통통한 경우 짙은색 저고리가 적당한데 이때 소매끝과 깃, 섶에 다른 색을 대는 삼회장저고리를 입으면 날씬해 보이는 효과가 있다. ◇남자 한복 입는법=남자 한복의 기본은 바지와 저고리, 조끼다. 그 위에 보온용으로 마고자를 입으며 외출할때는 두루마기를 걸친다. 조끼를 입을 때는 밑으로 저고리가 빠져나오면 안 된다. 바지를 입을 땐 큰 사폭이 오른쪽으로 가도록 하고 남은 허리 부분은 접어 허리띠를 맨다. 허리띠를 고름 매는 것처럼 매서 여분이 저고리 아래로 내려와 겉으로 보이게 하면 된다. 버선이나 양말은 신고 대님을 차는데 이때 바지 아랫부분은 대님 맨곳을 덮을 만큼 풍성하게 내려준다. 대님을 맬 때는 우선 안쪽 복사뼈에 바짓부리 사폭 시접선이 닿도록 한다. 이후 남은 바짓부리를 뒤로 돌려 겹친 부분이 바깥쪽에 가도록 한다. 대님을 2번 돌린 후 안쪽 복사뼈에서 묶고 바지 끝을 내려 정리하면 마무리된다. ◇여자한복 입는법=여자는 우선 치마와 저고리를 입고 보온용으로 배자나 마고자를 걸친다. 속옷으로는 먼저 속바지를 입고 브래지어로 가슴을 고정시켜준다. 그 위에 속치마를 착용하고 버선을 신는다. 버선은 가운데 시접이 바깥쪽으로 가도록 해야 한다. 겉치마를 입을 때는 어깨끈에 양팔을 넣고 치마끈으로 가슴부분을 둘러 매듭으로 고정시켜 준다. 매듭은 한쪽으로 치우치도록 해 고름 부분이 울퉁불퉁하게 보이는 것을 피한다. 겉치마는 속치마보다 2~3cm 더 짧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치마가 겹치는 폭은 한뼘 정도가 되는 것이 알맞다. 이후 저고리를 입고 옷고름을 맨다. 고름을 맬 때는 짧은 고름을 위로 가게 해 왼손으로 잡고 긴 고름은 아래로 놓는다. 그리고 짧은 고름을 긴 고름 밑으로 넣어 위로 잡아당겨 맨다. 긴 고름은 접어 왼쪽으로 고를 만든뒤 짧은 고름으로 이것을 돌려 싼다. 이후 짧은 고름을 고 밑으로 넣어 오른손으로 잡아 빼면서 모양을 만들어주면 된다. 노리개는 홀수로 다는 것이 좋다. 걸이가 있을 때와 끈 고리가 있을 경우 매는 법이 다른데, 걸이가 달린 것은 고름 매듭에 걸이를 걸고 끈 고리면 긴 고름 쪽에 고리를 끼워 넣은 뒤 고름을 맨다. 리본은 가슴 왼편을 향하게 하는 것이 원칙이다. 긴 고름이 바깥쪽에 오고 짧은 쪽이 가슴쪽에 오도록 하면 맞다. 긴 고름과 짧은 고름은 아래로 늘어뜨리는데 이 때 둘의 길이가 5~7cm 정도로 차이 나도록 조절한다. ◇세탁과 보관도 중요=한복은 옷감이 얇아 자주 세탁하면 탈색되거나 바느질이 상할 우려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천연섬유 재질의 경우 드라이클리닝, 합성섬유 제품은 손으로 살살 비벼 빨아야 한다. 얼룩이 진 경우는 벤젠을 솜뭉치에 묻혀 얼룩이 완전히 묻어나올 때까지 뒤집어가며 꾹꾹 누르거나 두들겨 빼면 된다. 원단마다 특성이 다를 수 있으니 옷 안쪽의 보이지 않는 면에 먼저 시험해본 후 실제로 하는 것이 안전하다. 한복을 오랫동안 보관할 때는 반드시 방충제를 종이에 싸서 옷갈피에 넣어둬야 한다. 방습제도 같이 두면 좋다. 맑은 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내놔 자주 바람을 쐬어 주는 것도 벌레로 인한 해를 막을 수 있다. 모양이 바뀌기 쉬운 만큼 옷걸이에 걸어두기 보다 포장한 종이 상자에 두세번 개어 놓고 뚜껑을 닫아두는 것이 좋다. ◇올바른 절하기=절은 평절과 큰절이 있는데 남자의 경우 두 가지의 차이는 없다. 남자 큰절은 우선 바른 자세로 서서 두 손을 앞으로 모아 잡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후 양손을 포개 양 팔꿈치와 손이 배 부근에서 수평이 되도록 한다. 이 때 남자는 왼손이 오른손 위에 올라가는 것이 맞다. 허리를 굽혀 손으로 땅을 짚고 왼발을 먼저 구부린다. 그 다음 오른발을 구부려 왼발 바닥위에 포개서 앉는다. 엉덩이를 발에 붙이고 손을 구부려 양 팔꿈치가 땅에 닿도록 한뒤 얼굴이 손까지 내려올 정도로 허리를 굽혀 절한다. 이때 엉덩이가 위로 들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절한 뒤 잠시 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뗀 뒤 일어나 왼쪽 발을 오른쪽 발과 가지런히 모은다. 여자 큰절의 경우 바른 자세로 손을 앞으로 모은 상태에서 손과 팔꿈치가 수평이 되도록 어깨 높이로 들고 고개를 숙인다. 남자와 반대로 오른손이 왼손 위에 가도록 포갠다. 포갠 양손 사이로 시선은 바닥을 향한다. 그후 왼쪽, 오른쪽 순으로 무릎을 구부린 후 오른발이 아래가 되게 발등을 포개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손등을 이마에 꼭 붙인 상태에서 윗몸을 45도쯤 앞으로 굽혀 절한다. 잠시 머무른 후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워 일어나 발과 손을 가지런히 모은다. 여자 평절은 큰절과 거의 같지만 두 손을 이마에 올리는 것이 아니라 양 옆으로 해 손끝을 바닥에 짚는 것이 다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