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9월 12일] 음모이론의 정치적 이용을 반대한다

“음모이론(Conspiracy Theory)”이라는 말이 있다. 역사적 사건 등을 음모 측면에서 해석하는 것이며 주로 정부 등의 거대조직이 자신들의 행위를 은폐하거나 대중을 자신들의 의도대로 끌고 가기 위해 매스미디어(mass media) 등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거짓된 사실을 진실로 포장한다는 것으로서 ‘로즈웰의 미확인 비행물체(UFO) 추락설’ ‘케네디 암살의 CIA, 군수산업체 배경설’ ‘달 착륙 조작설’ ‘9ㆍ11테러 자작극설’ 등 그 종류를 헤아리기 힘들 정도로 많은 음모이론이 존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박정희 전 대통령 시해 사건의 미국 배후설’ 등이 대표적인 음모이론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음모이론은 나름대로의 논리적 기반을 갖춘 것도 많이 있으며 정확한 진실이 믿기 어려운 너무나도 큰 사건의 경우에 강자의 논리에 반대되는 ‘사람들이 믿고 싶어하는 논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많은 지지자들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음모이론은 일반인들조차도 한번쯤은 ‘그럴지도 몰라’라고 생각하게 하는 묘한 매력이 있다. 영화화되거나 책으로 출간되는 등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음모이론도 상당수 존재하는 것은 음모이론의 매력에 대한 반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음모이론이 대중에 즐거움을 제공하는 선에서 멈춘다면 별반 문제가 있을 리 만무하지만 음모이론을 믿고 싶어하고 재미있어 하는 대중의 심리를 정치적으로 이용한다면 문제는 다른 차원으로 넘어선다고 생각한다. 최근 검찰이 한 비정부기구(NGO) 간부들의 횡령사건을 수사하자 그 단체에서는 “대운하 반대에 따른 보복이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사실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하지만 그 사실 여부는 추후 법정에서 가려질 문제이지 법정에 가기도 전에 언론플레이를 통해 마치 ‘음모론’이 존재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는 것은 오히려 진실을 호도하는 행위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정부의 시책에 반대한다고 그 단체를 표적 수사한다는 것도 믿기 어려운 일이며 있어서도 안 되는 일이지만 만약 불법 사실이 존재한다면 정부와 반대되는 입장의 단체라고 해서 면죄부가 주어진다면 더더욱 어불성설이라고 생각한다 과거의 정권들이 극구 부인하던 몇 가지 정치적 사건들이 나중에 진실로 밝혀짐에 따라 정치와 관련된 음모이론이 특히 일반 대중에 어필하는 힘은 강하다. 그렇다고 모든 적법한 절차들을 ‘음모론’으로 몰고가며 대중을 호도하는 것은 법질서의 기본을 흔들며 사회에 불신풍조를 조장하는 무책임한 행위로 절대 용납해서는 안될 일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