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월가 리포트] "은행시스템과 연계를" 업계 로비 사활

미국 규제당국도 효용성은 공감…법적통화 인정 여지 남겨

미국 비트코인 업계가 장기적으로 공식 통화에 버금가는 위상을 확보하기 위해 워싱턴 정가나 금융 당국 로비에 사활을 걸고 있다.


비트코인이 돈세탁 등 불법 거래에 악용될 가능성은 낮다며 당좌 예금 등 은행의 기본 시스템과 연결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것이다. 비트코인 상거래업체인 비트페이의 스테펜 페어 공동 창업자는 "은행들은 (평소 관심도 없지만) 필요성을 느끼더라도 비트코인 기업과 거래하기를 두려워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미 최대 비트코인 벤처 투자사인 서클인터넷파이낸셜의 경우 최근 900만 달러의 자금을 조달한 뒤 첫 작업으로 금용소비자국의 전직 대표 감독관인 라즈 데이트를 고용했다. 이들 업체들은 규제 완화를 위해 월가와도 공동전선을 펴고 있다. 이 회사가 월가 로비단체인 파이낸셜서비스라운드테이블의 전직 수석고문인 존 베시카를 고용한 게 대표적인 사례다. 비트코인 거래소 트레이드힐 설립자인 제러드 케나는 "앞으로 50년 뒤 비트코인의 성장성에 주목해야 한다"며 "은행은 비트코인 업체의 요구에 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미 규제당국도 틈새 통화로서의 비트코인의 효용성 자체는 인정하고 있어 승산이 있다는 게 비트코인 업체들의 계산이다.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 의장은 지난달 "(비트코인을) 직접적으로 감독하거나 규제할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며 "돈세탁 등의 위험에도 장기적으로 유망한 면도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미 법무부 등도 비트코인이 다른 온라인 결제 수단들과 마찬가지로 법적인 통화로 인정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데이비드 우 뱅크오브아메리카(BoA) 글로벌 금리·외환리서치 담당 대표는 5일 "비트코인은 자금 이동의 흔적이 남는 디지털 코드를 갖고 있어 범죄자들이 악용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비트코인 가치가 단기적으로 최대 1,300달러까지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고 성장 잠재력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최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