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정부주도 매각기업 M&A룰 손질한다

대상기업따라 사회적 감점제 차등적용…주간사 정보 방화벽 강화

정부주도 매각기업 M&A룰 손질한다 대상기업따라 사회적 감점제 차등적용…주간사 정보 방화벽 강화 김민열기자 mykim@sed.co.kr 관련기사 • "쟁점 철저검토 의혹재발 방지" 대우건설 인수합병(M&A)에 처음 도입된 사회ㆍ경제적 책임기업에 대한 감점제도가 매각 대상 기업의 사정에 따라 차등 적용된다. 또 대우건설 매각과정에서 발생한 삼성증권 리포트 사건의 재발 방지를 위해 방화벽을 강화하는 등 정부가 주도할 M&A 관련 룰이 손질될 전망이다. 25일 재정경제부와 자산관리공사(캠코) 등에 따르면 대우건설 M&A 과정에서 쟁점이 됐던 각종 룰이 재검토되고 있다. 당장 대우건설 매각에서 중대한 변수로 작용했던 사회적ㆍ경제적 책임기업에 대한 감점제도가 매각 대상 기업에 따라 차등 적용된다. 현재 매각이 진행 중인 대우일렉트로닉스의 경우에는 감점제가 적용되지 않을 전망이다. 캠코 지분이 있지만 우리은행 주관으로 진행되는데다 본입찰 참가자격을 얻은 5곳 가운데 외국계가 4곳에 달해 자칫 역차별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매각주간사인 삼성증권이 본입찰 전 발표한 매수 추천 리포트의 경우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지만 증권업협회 관련 규정(제1~15조)이 추상적이어서 일어난 일인 만큼 이에 대한 방화벽을 구체화하기로 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대우건설 매각과정에서 매끄럽지 못해 오해를 일으킨 사항이 재발하지 않도록 관련 내용을 검토하고 있다”며 “앞으로 정부 주도 매각 대상 기업에 대한 한 점의 의혹도 없는 공정한 M&A 경쟁을 위해서는 관련 룰을 정립하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6/06/25 17:2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