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지자체, 월드컵 경기장 활용방안 고심

"민관 3섹터방식 운영" 촉구정부와 월드컵을 치룬 10곳의 지방자치단체들이 경기장 활용방안을 놓고 골 머리를 앓고 있다. 경기장을 짓느라 엄청난 재정부담을 떠안은 지자체들은 경기장 건설비 회수는 고사하고 매년 수십억원씩 들어가는 유지ㆍ보수비를 마련하기 위해 민간의 수익사업 유치에 나섰지만 서울 등 일부 도시를 제외하고는 매년 수억원씩의 적자를 감수해야 될 형편이다. 이에 따라 민관 합동의 제3섹터 방식 운영으로 지혜를 모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월드컵 경기장 활용방안 미흡 지자체들은 정부의 일부 지원을 받긴 했지만 경기장 건설비만 무려 1조6,000억원(주변도로 등까지 포함 2조4,000억원 가량)이나 된다. 열악한 재정형편에도 불구하고 월드컵 특수를 노린 포석이다. 그러나 아직 까진 정부나 지자체 모두 경기장 활용에 대해 구체적인 가닥을 잡지 못하고 있다. 정은보 재정경제부 정책조정2과장은 "지자체들로부터 활용방안을 취합하고 있으나 아직 제출한 곳이 없다"고 말했다. ◇서울 등 일부 제외하면 애로 커 대구시는 경기장 지하에 자동차 극장과 쇼핑몰, 리셉션 홀, 음식점, 야외 예식장, 골프연습장 등을 유치할 계획이나 희망하는 곳이 별로 없다. 대전시도 7월중 부대시설에 대한 입찰을 재 추진키로 했으나 결과는 미지수다. 지난 4월 '상무 불사조' 축구단을 유치, 한시름 놓은 광주시 역시 애를 태우긴 마찬가지다. 더욱이 프로축구단이 없는 5곳의 개최도시는 경기장 활용마저 어려워 더욱 고민이다. 서귀포시의 경우 면세점과 겨울철 훈련장 등으로 활용을 모색하고 있지만 개발계약을 맺은 미국회사가 사업을 포기하는 바람에 다른 업체를 찾고 있다. 부천SK유치에 실패한 인천시도 할렐루야팀의 재창단에 기대를 걸고 있지만 고민이 만만치 않다. 반면 서울 상암경기장은 최근 한 컨설팅사 용역 결과 연 수입 65억원, 관리비 42억원으로 연간 23억원의 이익을 볼 것으로 예상됐다. 내년 5월 개장하는 할인점과 스포츠센터, 사우나, 영화관, 은행, 식음료점, 예식장 등 11곳의 입찰(7월1일)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다목적 종합경기장인 부산 경기장도 도심에 위치해 있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는 평이다. ◇제3섹터 운영 방식 바람직 현재 도시마다 ▦직접 운영 ▦재단법인 설립(수원) ▦민간위탁 추진 등으로 나눠져 있는데 경기장 운영의 공공성과 효율성을 위해서는 민관합동 운영(제3섹터)이 낫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렇게 해서 ▦국제 스포츠대회 유치 ▦프로축구와 아마축구, 생활체육 활성화 ▦콘서트와 공연, 종교집회, 시민행사 등 각종 이벤트 ▦수익시설 등 문화ㆍ관광ㆍ체육ㆍ환경이 어우러진 곳으로 자리매김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임관식 문화관광부 국제체육과 서기관은 "정부나 지자체 모두 뾰족한 수는 없는 상태"라며 "민관합동의 제3섹터 방식으로 중지를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고광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