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재계 “구조조정 특별법 제정을”/전경련 긴급회장단회의

◎정리해고·임금동결 허용해야/경제난 타개 민관기구도 제의재계는 기업들이 자발적인 자구노력을 촉진할 수 있도록 「기업구조조정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는 등 특단의 조치를 취해줄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재계는 자구노력과 정책개선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화의 장을 마련키로 하고 전경련회장단과 강경식부총리겸 재경원장관 등 경제관련 최고당국자, 정당관계자로 구성된 「경제난 타개를 위한 민관공동기구」를 설립할 것을 정부와 여야에 제의했다. 전경련은 강도높은 경영혁신을 위해 ▲임금동결 ▲비수익성 자산 매각 ▲한계사업 정리 ▲재무구조 건전성 확보 등을 범재계차원에서 추진키로 했다. 전경련은 1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비자금사건 이후 처음으로 긴급회장단회의를 갖고 현재의 경제상황은 건전한 기업도 자구노력을 할 시간적 여유 없이 도산하고 이로인해 금융공황마저 우려된다며 이같이 건의했다.<관련기사 7면> 회장단은 자구노력이 성공하기 위해선 정부와 금융기관의 적극적인 지원이 긴요하다며 고금리구조 해소와 임금동결, 정리해고를 즉각 실시할 수 있도록 기업구조조정에 관한 특별법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은 오일쇼크 때 「불황산업의 구조조정을 위한 임시특별법」을 제정, 실시했었다. 회장단은 정부와 정치권과의 「경제난 타개 민관공동기구」를 설립하자고 제의하고 이와는 별도로 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을 간사로 민간경제연구소가 참여하는 공동연구기구를 발족시키기로 했다. 회장들은 경제위기가 장기화됨에 따라 금융기관부실화 및 도산, 국제신인도 추락 등이 우려된다며 ▲한은의 신축적인 재할인 ▲재정의 신용보증기금 출연 확대가 긴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부도유예협약 가입대상 금융기관에 3금융기관도 가입토록 유도하고 어음보험제도 도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이의춘·이용택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