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적대적 M&A 위협 지나치다

삼성전자를 비롯해 국내 대기업의 상당수가 적대적 M&A(인수합병) 위협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 경영여건이 크게 불안정한 실정이다. 윤종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5일 국회답변에서 삼성전자에 대한 적대적 인수합병 가능성에 대해 ‘언제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혀 국내 최대 기업인 삼성전자마저 적대적 M&A로부터 안전하지 못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또 국회 김양수 의원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시가총액 상위 50위안에 드는 기업가운데서 외국인에 경영권을 위협받고 있는 기업이 31곳이나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기업 10곳 중 6곳이 외국인으로부터 적대적 M&A에 노출돼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국내 기업들이 이처럼 적대적 M&A에 심하게 노출되게 된 것은 외환위기이후 급속한 자본시장 개방에 따라 외국자본 유입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국내 기업들에 대한 외국인 지분이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경영권이 위협받게 된 상황을 반드시 부정적으로만 볼 필요는 없다. 경영진의 무능과 도덕적 해이 등을 견제하는 외부적 장치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은행이 외국인 손에 넘어간 상황에서 대기업들마저 외국인의 적대적 M&A로부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경영실적이 나쁜 경우라면 몰라도 경영을 잘하고 있는 우량 기업들이 적대적 M&A에 신경을 써야 하는 상황이라면 기업의 성장을 위한 장기경영이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우량 기업들을 중심으로 외국인 지분율이 과도하게 높아지고 안정적인 경영이 어렵게 되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경제에 돌아올 수밖에 없다. 경영권 안정을 위한 방어장치를 마련해 국내기업이 불필요한 적대적 M&A위협으로부터 벗어나 경영에 전념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줘야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당장 현안이 되고 있는 삼성전자에 대한 금융계열사의 의결권 제한문제 등도 이런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충분한 시간을 두고 단계적으로 문제를 풀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업과 경제 현실을 무시한 채 지나치게 이론적인 측면에서 문제를 풀려다 보면 득보다 실이 더 큰 우를 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