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카드사 연체율 관리 악순환

신용카드사들이 연체율을 잡기 위해 회원들의 현금서비스 한도를 대폭 줄이고 연체관리 담당 직원을 확충하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이는 다시 업계 전반의 연체율을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다.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9개 신용카드사들은 7월말 연체율(1일 이상 연체기준)이 6.79%로 지난 3월말의 5.05%에 비해 크게 높아지면서 회원에 대한 현금서비스 한도를 대부분 크게 낮췄다. 국민카드는 신규회원에 대한 현금서비스 한도가 평균 300만원이었으나 8월부터220만원 수준으로 줄였다. 외환카드도 자사 및 타사카드 연체자를 대상으로 한도를10~30% 줄였다. LG카드와 삼성카드 역시 신규회원 현금서비스 한도를 종전에 200만원 정도에서120만~150만원 수준으로 대폭 낮췄고, 기존 회원의 한도도 연체관리 전산시스템에의해 점차 줄여가고 있다. 비씨카드 회원인 각 은행들도 현금서비스 한도를 10% 이상 줄여가는 추세다. 또 연체를 관리할 조직이나 담당직원은 대폭 늘리고 있다. 국민카드는 초기연체관리 전담부서를 이달들어 2개실로 늘렸고 기존 관리영업실산하에 일산, 부천, 의정부, 동래 등 4개 분실을 신설했다. 전담직원도 50여명 늘렸다. 또 연락이 되지 않는 회원의 주소를 추적해서 연락처를 확인하는 연체자 실태조사 전담사 제도를 도입했으며, 개인워크아웃제도인 신용예방 및 회복프로그램을 적극 실시중이다. 외환카드도 연체관리 인력을 대폭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한 사람이 여러 카드사로부터 돈을 빌린 경우가 많은 상황에서 이같은연체관리 강화는 업계 전반의 연체율을 다시 높이는 결과를 낳고 있다. 카드사 관계자는 "9월부터 회원들의 500만원 이상 여신정보를 금융기관들이 공유하면서 카드사들은 연체 가능성이 높은 회원의 한도를 대폭 줄였고 이로 인해 돌려막기가 어려워졌다"면서 "이런 상황이 되자 돈을 빌린 사람들이 아예 못갚겠다며버티는 모럴 해저드 현상이 심해져 연체율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다른 관계자도 "밤 9시 이후에는 회원의 집에 전화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등채권추심에 대한 규정이 엄격해진 것도 취지와는 달리 카드사들이 다른 차원의 채권관리를 강화하게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주종국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