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의 노년층 선호 현상은 사회적으로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평가된다. 세계 각국이 과도한 복지 비용으로 인한 재정부담을 느끼는 상황에서 기업들이 고령자 일자리를 적극 창출해 은퇴 연령이 늦어진다면 연금 지급 개시를 늦출 수도 있고 노년층에 대한 의료비 부담도 줄어 나라 살림살이에 보탬이 되기 때문이다. 고령 취업자 개인 입장에서도 이른 은퇴로 인한 노후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 같은 이유로 각국은 사회ㆍ정책적으로 노년층 취업을 장려하는 분위기다. 전통적으로 이른 은퇴를 선호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됐던 유럽에서는 최근 노년층의 취업을 적극 권장하고 있으며, 호주 정부도 최근 50세 이상 인력을 한 명 고용할 때마다 1,000달러의 보너스를 지급하는 프로그램을 도입해 고령자 취업을 유도하고 있다.
고령화에 가장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일본 정부는 '인생 90세'에 대비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사회환경 정비에 나서 현재 57.3%인 60~64세 인구의 취업률을 2020년까지 63%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또 지난달 29일 일본 의회는 연금지급시기를 늦추기 위해 기업들의 정년을 내년에 61세, 오는 2025년에는 65세까지 상향조정하기로 했다.
이 같은 정책은 고령자들 입장에선 더할 나위 없이 반가운 일이다. 최근 미국에서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조사에 따르면 기대 수명 연장으로 노후를 여가생활로 보내는 대신 일하기를 원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또 오랫동안 일자리를 유지할 경우 그만큼 노후 생계에도 보탬이 될 수 있다. 지난 6월 미국은퇴자협회(AARP)가 현재 일을 하고 있거나 일자리를 구하고 있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50세 이상 인구 중 78%는 재정적인 이유로 고용이 유지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진국들의 이 같은 사례는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엄동욱 삼성경제연구소 인사조직실 수석연구원은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청년층의 실업난이 심각하기 때문에 아직까지 노년층의 취업 문제에 대한 고민이 부족하다"면서 "장기적으로 노년층의 취업 문제는 꼭 해결해야 할 문제이기 때문에 선진국의 사례는 참고할 만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