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15년 공공시설 무선인터넷 무료"

서울시 '스마트서울 2015'<br>증명서 발급등 행정 서비스도<br>2014년까지 모바일 처리 가능


오는 2015년이면 공공청사∙주민센터 등 서울시 전역의 공공시설에서 무선 인터넷(와이파이)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2014년까지 증명서 발급, 납부∙결제 민원 등 행정서비스가 100% 모바일로 처리된다. 서울시는 8일 2015년까지 행정∙복지∙산업∙생활 등 전분야에 정보기술(IT)서비스를 접목하는 '스마트 서울 2015' 사업비전을 발표했다. 서울시는 우선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이용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2015년까지 시 본청과 자치구, 주민센터 등 공공시설 796곳에 무선 인터넷을 단계적으로 설치하기로 했다. 현재 공공시설 내 무료로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은 전무한 상황이다. 서울시가 공공시설에 무선 인터넷망을 구축하게 되면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를 이용해 직장인은 현장업무를 처리할 수 있고 시민들은 공공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 고령자∙주부∙장애인 등 정보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2015년까지 연간 20만명씩 총 100만명에게 스마트기기 활용교육을 실시한다. 서울시는 증명서 발급, 납부∙결제 민원 등 현재 인터넷으로 가능한 행정서비스를 2014년까지 100% 모바일로 처리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체육∙문화시설 예약 확인, 위험상황 실시간 전파, 민원처리 상황 통보 등 행정업무도 인터넷과 동일하게 모바일로 서비스하게 된다. 특히 서울시와 25개 자치구로 나뉜 교육∙체육시설∙문화관광∙진료 등 3만여개의 공공서비스 예약업무를 2015년까지 한곳으로 통합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이를 통해 공공서비스에 대한 온라인 예약률을 현재 26%에서 85%까지 끌어올리고 연간 240만명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스마트TV가 2015년에는 서울에 100만대가 보급되고 이용인구도 3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현재 시 홈페이지 등 인터넷으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스마트TV를 통해서도 제공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현재 39% 수준인 폐쇄회로(CC)TV의 실시간 모니터링 비율을 2015년까지 100%로 끌어올리고 시내에 설치된 1만여대의 CCTV를 방범∙도시안전에 활용해 범죄 발생률을 10% 이상 줄이기로 했다. 학부모가 인터넷을 통해 자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u-어린이 안전서비스'도 2015년까지 587개 전체 초등학교로 확대된다. 또 서울시는 해킹으로부터 안전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상암동 IT콤플렉스에 인큐베이터센터를 구축해 50여개의 스마트 정보보안 업체를 지원하기로 했다. 스마트 정보보안 인력도 현재 6,000명에서 1만명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