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15년까지 디지털교과서 전면 도입

교과부 2015년까지 국가교육경쟁력 세계10위권 목표

2015년부터는 모든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 디지털교과서가 활용된다. 또 학생들은 온라인 강의를 통해 필요한 교과목을 수강할 수 있고 각종 평가도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교육과학기술부와 국가정보전략위원회는 29일 2015년까지 2조2,281억원을 투입해 2015년까지 국가교육경쟁력 세계 10위권, 2025년까지 세계 3위권 진입을 목표로 하는‘스마트 교육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스마트교육은 그동안 표준화된 지식을 평균 수준에 맞춰 대량 전달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개인의 수준과 특성에 맞는 맞춤형·자기주도적 학습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학생들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내용을 배울 수 있도록 2015년까지 모든 학교에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 환경이 갖춰진다. 인터넷서버에 교육용 콘텐츠를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자료를 내려 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PC나 스마트폰, TV 등 다양한 단말기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2014년 초등학교를 시작으로 2015년까지 초·중·고교의 모든 교과를 대상으로 디지털 교과서가 만들어진다. 디지털교과서는 교과 내용과 참고서, 문제집, 사전, 공책, 멀티미디어 자료 등의 기능을 연계한 미래형 교과서로 PC, 스마트폰 등 모든 단말기에서 사용된다. 당분간은 기존 종이교과서와 병행해 사용된다. 디지털 교과서는 학습지와 참고서를 별도로 사는 부담을 덜어줘 공교육 만족도를 높이고 사교육 의존도를 낮출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온라인 수업을 활성화하고 온라인을 통한 평가와 개인별 학업수준 진단도 이뤄진다. 내년부터 수행평가 모델을 만들고 시범학교를 운영하며 2015년까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인터넷 기반 평가(IBT) 형태로 단계적으로 바꾼다. 교과부 관계자는 “세종특별자치시와 선도 교육청에 스마트 교육을 실현할 `미래학교'가 시범적으로 운영된다”며“우선 내년 3월 세종시의 첫마을 지역에 개교하는 나성초등학교(24학급)에 미래학교 방식을 완벽히 적용하며 인근 송원초교에는 이를 일부 도입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