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IMF 구제금융시대­금융권 구조조정 어떻게 될까

◎은행 “최악 피하자” 합병 가시화/부실여신 축소·기존 여신 회수 등 경영 개선해야/외국기관 자회사 설립땐 국내은과 경쟁도 가열국제통화기금(IMF)은 이번 협상에서 우리 금융기관의 회계처리기준을 국제기준에 부합하도록 요구하는 등 은행경영의 투명성 제고를 강하게 요구하고 나섰다. 또 내년 중반기까지 외국금융기관(은행, 증권)의 국내 자회사 설립을 요구함에 따라 조만간 국내외 은행간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IMF는 이번 협상안에서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금융기관 건전성 감독기준을 마련하고 모든 은행이 바젤협약의 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연차개선계획을 수립토록 했다. 현재 대부분의 은행들은 주가폭락과 환율급등으로 BIS(국제결제은행)기준 자기자본비율이 8%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부실여신 축소와 기존 여신회수 등 강도 높은 경영개선조치가 불가피하게 됐다. 이 과정에서 일부 부실이 많은 은행들은 영업정지라는 최악의 경우를 피하기 위해 은행간 합병 움직임이 보다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IMF는 또 대형 금융기관의 회계감사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회계법인이 감사토록 하는 등 금융기관의 회계 및 공시제도를 강화하도록 했다. 국내 회계법인의 감사를 받은 은행 장부를 믿지 못하겠다는 얘기다. 이에따라 부실채권 대손충당금 적립이나 유가증권 평가손의 충당금 적립을 국제기준에 따라 적립할 경우 은행권의 무더기 적자결산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현재 내년 3월말까지 은행에 대한 자산·부채 실사작업을 벌여 자산의 건전성, 자기자본비율 등을 기준으로 A·B·C 3개 등급으로 분류, C등급 은행에 대해서는 통폐합이나 제3자인수 등을 권고하고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영업정지 등 강력한 구조조정을 실시할 예정이다. 정부는 국내외 금융기관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스스로의 생존을 위해 지난달 정부가 발표한 금융산업구조조정을 보다 강도 높게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내 은행권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형 시중은행간 합병을 통해 리딩뱅크를 육성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함께 그동안 국내 은행들이 경쟁적으로 늘려오던 해외점포에 대한 축소작업도 본격화된다. IMF는 국내 금융기관의 해외점포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고 회생이 어려운 부실점포는 정리토록 함에 따라 최근 외화자금난을 겪고 있는 상당수의 국내금융기관 해외점포가 문을 닫게 될 전망이다.<이형주 기자>

관련기사



이형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