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소비자 2명 중 1명 “TV·영화 간접광고 본 후 상품 구입”

“간접광고 긍정적 생각” 61%<br>드라마·영화·쇼프로 순으로 많이 접해

일반 소비자 2명 중 1명 꼴로 TV·영화의 간접광고를 본 후 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6일 BS산업지원센터·DMC미디어와 함께 전국 734명의 일반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가상광고·간접광고(PPL)에 관한 수용자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46%가 ‘평소 영화나 TV에 등장한 제품을 보고 이에 영향을 받아 구매를 해본 경험이 있다’고 답해 간접광고가 구매로 직접 연결되는 비율이 비교적 높았다. 간접광고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1%가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답한 반면 ‘부정적으로 생각한다’는 의견은 14%에 그쳤다. 긍정적이라고 답한 이유로는 ‘최신 트렌드를 읽을 수 있기 때문’이 55%로 가장 많았고 ‘극 또는 프로그램에 자연스럽게 노출돼 광고라고 인식되지 않기 때문’(22.5%), ‘몰랐던 제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12.7%) 등의 순이었다. 반면, 부정적이라고 답한 이유로는 ‘지나치게 상업적인 느낌이 들어서’와 ‘극 또는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몰입도가 떨어져서’가 각각 28.1%로 가장 많았다. 가장 선호하는 간접광고 매체는 드라마(50%), 영화(20%), 쇼·오락프로그램(9%)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소비자들이 간접광고를 접하는 매체도 드라마(33%), 영화(23%), 쇼·오락프로그램(19%) 순으로 동일했다. 조사 및 분석을 담당한 DMC미디어 관계자는 “신유형 광고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소비자들이 많지만 지나치게 상업적이라고 생각하거나 극의 스토리 흐름을 방해하는 장치로 여기는 소비들 또한 있기 때문에 세심한 광고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