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글로벌 경제 진짜 뇌관은 중국"

2차 부양책에도 외국인 투매… 中 증시 장중 3600선 붕괴

외신 "그리스 보다 더 위험"… 거품붕괴 전이 땐 세계금융 위기

시진핑 정부 리더십도 시험대에


'진짜 폭탄은 그리스 아닌 중국?'

중국 증시가 2차 부양책에도 맥없이 무너지며 그리스 위기보다 글로벌 경제에 더 큰 리스크로 부상하고 있다. 그리스 위기는 채권국 간 협의라는 출구 마련이 가능하지만 중국 증시 붕괴는 현재 어떤 처방도 효과가 없기 때문이다. 세계의 시장인 중국 증시 붕괴가 자칫 글로벌 금융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까지 제기된다.

7일 중국 증시는 외국인들의 투매로 장중 한때 3,600선이 붕괴됐다. 매물대 분석으로 볼 때 지난 3월 외국인 매수가 집중됐던 점을 감안하면 추가 매물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날 후강퉁(상하이와 홍콩증시 교차거래) 중 후구퉁(홍콩에서 상하이로 투자) 거래는 매도가 매수보다 4배 이상 많았다. 페트로차이나(중국석유), 공상은행, 시노펙(중국석화) 등 국유기업 대형주들은 상승세를 유지했지만 증권주와 정보기술(IT), 인터넷 등 성장주들의 하락세가 이어졌다.


부양책의 약발이 단 하루 만에 끝나고 맥없이 증시가 주저앉으면서 주요 외신들은 그리스 위기보다 중국 증시 붕괴가 하반기 글로벌 경제에 더 큰 충격을 줄 것으로 예측했다. 이미 빌 그로스, 모하메드 엘에리언, 데이비드 로젠버그 등 월가 큰손들은 중국을 그리스와 푸에르토리코 등과 함께 하반기 주요 리스크 요인에 포함했다고 CNN머니는 전했다. 문제는 중국의 위기가 아시아는 물론 전 세계로 전이될 수 있다는 점이다. 포렉스닷컴의 캐서린 브룩스 리서치 책임자는 "중국이 자국 증시의 위기를 막지 못하면 그 충격이 아시아는 물론 다른 지역으로도 전이될 수 있다"며 "중국 증시에 가장 많이 투자한 나라는 미국"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중국 증시는 기업공개(IPO) 중단과 22조원의 시장안정화기금 증시 투입을 골자로 한 부양책으로 6일 잠시 반등했다. 하지만 효과는 전일 오전 반짝 급등으로 소진된 모양새다. 단 2시간 만에 2차 부양책의 실효성이 끝난 셈이다. 이날 증시는 부양책의 효과가 다 떨어진데다 그리스 악재까지 겹치며 힘을 잃었다.

증시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의 연이은 부양책이 제대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부양책이 거품에 거품을 키우는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신용투자의 함정에 빠진 증시를 살리기 위한 통화정책 완화와 지속적인 유동성 공급이 자칫 실물경제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펜토포트폴리오스트래티지스 창업자인 마이클 펜토는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 증시의 상승이 펀더멘털이 아닌 차입과 조작으로 이뤄졌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중국 증시의 신용거래 규모는 6월 말 기준 2조위안(약 384조원)을 넘어섰고 주가 폭락으로 발생한 '깡통계좌'들은 상하이증시와 선전증시의 대기매물로 시장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 여기다 원금의 5배까지 주식투자자들에게 신용으로 빌려준 그림자금융은 규모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않는다.

애초 개인투자자들의 과도한 욕심에 맞춰졌던 증시 폭락의 책임은 시간이 지날수록 중국 정부의 정책 실패로 모아지고 있다. 특히 시진핑 정부의 국유기업 개혁과 기업 구조조정, 신성장산업 지원 등이 증시에 악재로 작용했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날도 정부 지원이 예상되는 국유기업과 대형은행들은 상승세를 이어간 반면 개인투자자들이 투자한 중소형주들은 급락세를 나타냈다. 일각에서는 리커창 총리의 창신(창조·혁신) 정책이 증시 하락의 요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리 총리는 신성장 창업기업들이 증시를 통해 투자금을 마련해 경제체질 변화라는 선순환을 이룰 것으로 기대했지만 증시에 성장주 거품만 만들었을 뿐 경제체질 변화를 이끌지는 못했다.

블룸버그 등 일부 외신들은 이번 증시 폭락 사태가 시진핑 정부의 리더십을 시험대에 올릴 것이라는 분석도 내놓았다. 9,000만명이 넘는 증시 투자자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개인투자자들의 손실이 사회불안 요인으로 부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중국의 강력한 중앙집권식 지도체제에서 증시가 시진핑 정부를 흔든다는 것은 과도한 분석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카르스텐 홀츠 홍콩대 경제학과 교수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정부의 정책 신뢰도가 떨어진다 해도 다수의 중국인들은 정부가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김현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