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北, 서울 4배 공격할 화학작용제 보유"

보관ㆍ수송사고 위험 큰 '일원화 화학탄' 125만발 제조 가능

북한은 최대 125만발의 화학탄을 만들 수 있는 화학작용제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서울시의 4배 면적을 오염시킬 수 있는 양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권양주 한국국방연구원(KIDA) 군사기획연구센터 연구위원은 13일 KIDA의 '동북아 안보정세 분석'에 기고한 글에서 "북한이 보유한 화학작용제 2,500~5,000톤을 전량 화학탄으로 만든다면 62만5,000~125만발(1발당 소요량 4㎏ 가정)을 제조, 서울시 면적의 4배인 2,500㎢를 오염시킬 수 있다"고 추산했다. 권 연구위원은 "북한의 화학탄은 박격포, 야포, 다연장, FROG, 스커드ㆍ노동 미사일, 항공기 등을 이용해 투발(投發ㆍ내던져 폭발시킴)할 수 있다"면서 "북한이 가장 많이 보유한 122㎜ 야포 1개 대대(18문)에서 1발씩만 투발해도 축구장 5개 면적인 3만6,000㎡를 오염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북한의 화학탄은 화학물질 통에 완전한 형태의 화학작용제가 채워져 있는 '일원화 화학탄'이어서 보관ㆍ수송시 안전사고가 날 위험이 크고, 대부분 지하에 보관돼 부식에 따른 누출ㆍ토양오염 사고 가능성이 높다. 일원화탄은 독성이 적은 2가지 화학물질을 2개의 통(canister)에 채워 탄체가 날아가는 동안 혼합ㆍ화학반응이 일어나 화학작용제가 만들어지는 이원화 화학탄보다 기술적으로 단순하고 효과가 확실하다. 권 연구위원은 "지하에 저장된 일원화탄이 부식돼 화학작용제가 누출되면 인명ㆍ가축 살상뿐 아니라 걷잡을 수 없는 토양오염도 우려된다"며 "최소한 비핵화와 동시에 폐기되도록 국제적으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