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KTX울산역 운행 상하행선 주4회 더 늘려

13개교 중 9개교 미달<br>교과부 "학교 요청시 지정취소 가능토록"<br>외고 추가모집선 ‘체면’지켜…서울외고 영어과 9.75대 1

최악의 '미달 사태'를 겪은 서울의 자율형사립고 상당수가 추가모집에서도 정원을 채우지 못해 비상이 걸렸다. 17일 서울시교육청과 입시학원 하늘교육에 따르면 추가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13개 자율형사립고 중 이대부고, 현대고, 보인고, 선덕고를 제외한 9개교가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대부분의 학교가 두자릿수의 결원을 기록한 가운데 100명대의 결원이 생긴 학교가 2개교였고, 280여명의 결원이 생긴 학교도 있었다. 정원을 채운 4개교 역시 2대 1을 넘기지 못해 가까스로 체면치레를 했다. 고교입시 일정상 전기고에 해당하는 자율고 추첨이 토요일인 18일 진행되고, 후기고 원서접수가 바로 다음주 월요일인 20일부터 진행되기 때문에 추가모집에서도 정원을 채우지 못한 학교들의 경우 또 다시 추가모집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의 경우 일부 자율고의 사배자 전형 미달자를 이듬해 1월 추가모집했지만, 고교선택제로 일반고교 배정받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율고 일반전형 추가모집을 받는 것은 사실상 의미가 없다. 정원부족 상태로 학교를 운영할 경우 교육청으로부터 재정결함보조금 지원 없이 학생들이 내는 수업료와 법인전입금만으로 운영되는 자율고는 재정상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학사 부실을 우려한 일부 자율고 합격생들은 전학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사태는 자율고 늘리기에만 급급했던 교육당국의 수요예측이 빚어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13개교였던 자율고는 올해 2배인 26개교로 늘어났고, 모집정원은 3배 가까이 증가했다. 그러나 자율고의 성과가 제대로 나오지도 않은 상황에서 일반 고교의 3배에 달하는 등록금이 학생과 학부모에게는 부담도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한편 교과부는 이번 사태의 해결을 위해 학교 법인이 요청할 경우 각 시도교육감이 자율고 지정을 유예 또는 취소할 수 있도록 허용할 방침이다. 이날 교과부의 2011년 업무계획 발표에서 구자문 학교제도기획과장은 이에 대해 "학교가 책임을 지고 학생을 충원하도록 하되 정 안되면 법인의 요청을 전제로 교육감이 지정을 유예하거나 취소할 수 있게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만 지정을 유예•취소하고자 할 때에는 이미 입학 또는 합격한 학생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학생 전체의 동의를 받고 전학 대책 등을 마련하도록 할 방침이다. 시교육청은 “학생들의 피해가 없도록 조만간 대책을 마련하겠다”며 “학교법인의 취소 요구가 오면 면밀히 검토는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추가모집 마감을 한 서울권 4개 외고는 일반전형 평균 6.33대 1, 사배자전형 평균 2.8대 1의 경쟁률을 보여 본모집 평균(1.4대 1) 대비 경쟁률이 상승했다. 서울외고의 영어과 일반전형과 중국어과 일반전형이 각각 9.75대 1, 7.25대 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화외고 영어과 일반전형도 5.43대 1을 기록했다. 사배자 전형에서도 한영외고 독일어(5.5대 1), 이화외고 영어과(4.5대 1), 명덕외고 일본어(3대 1) 등이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