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페루 바이어 70% "FTA 발효땐 한국산 제품 수입"

KOTRA, 21일 ‘한-페루 FTA’ 정식서명 앞두고 설문

페루 바이어 10명 가운데 7명은 ‘한-페루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되면 한국산 제품을 수입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KOTRA는 최근 리마KBC(코리아비즈니스센터)를 통해 페루의 바이어 7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한-페루 FTA’ 발효 후 "한국업체와 거래할 의사가 있다"고 답한 비율이 70%(49명)였다고 21일 밝혔다. 반면 "거래 의사가 없다"는 응답자는 3%(2명)에 그쳤고 나머지 27%는 "아직 잘 모르겠다"며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지난 2009년 3월 1차 협상을 개시한 한-페루 FTA는 지난해 8월 협상이 타결돼 같은 해 11월 양측 통상장관이 가서명했고 21일 서울에서 정식 서명을 할 예정이다. 페루 바이어들은 수입 확대 이유로 '가격 인하에 따른 경쟁력'(81%)을 가장 많이 꼽았고 ‘비관세장벽 철폐’(11%)와 ‘한국 제품의 인지도 상승’(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국 제품 수입을 5% 이상 확대하겠다고 답한 바이어는 67%에 달해 수출증가 폭이 클 것으로 전망됐으며 수출 유망 품목으로는 텔레비전, 세탁기, 냉장고 등 가전제품과 승용차, 컴퓨터, 섬유 직물, 농약, 의약품 등이 꼽혔다. 특히 자동차의 경우 상용차는 9%의 관세가 즉시 철폐되고 3,000㏄ 미만 승용차도 5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관세가 없어지면 시장점유율 1위인 일본차 대비 가격경쟁력 및 선호도가 높아져 큰 폭의 수출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KOTRA는 전망했다. 전자제품은 LCD TV(9% 즉시 철폐), 세탁기(17% 4년 철폐), 냉장고(17% 10년 철폐) 등 고가 제품 위주로 수출 확대가 예상된다. KOTRA는 중장비 부품과 철강판의 수입관세(9%)도 철폐될 뿐 아니라 현지 건설시장이 매년 20% 이상 성장하고 있어 이들 품목의 수출 증가도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