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해외기업 M&A 적극 지원한다

정부, 서울 G20 후속조치 보고대회<br>KIC 국내투자·공적개발원조 확대 추진

이명박 대통령이 11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후속조치 보고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왕태석기자


정부는 주요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 후속조치로 국내 기업들이 경쟁력 있는 해외기업을 인수합병(M&A)하도록 본격적으로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또 국부펀드의 기능 확대를 위해 한국투자공사(KIC)의 국내투자를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명박 대통령이 주재로 11일 열린 G20회의 후속조치 보고대회에서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등 5개 대통령직속 위원회와 기획재정부 등 11개 중앙부처는 이 같은 방안을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G20 서울 정상회의 이후 이제부터가 대한민국의 시작이라 생각한다"면서 "G20 이전과 이후는 분명히 달라져야 한다"고 밝혔다. 우선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는 국내 기업들의 해외 주요 기업 M&A 활성화를 지원하고 KIC의 국내투자(원화 자산 운용)를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중국정부가 2조달러에 달하는 외환보유액을 활용해 자국기업의 해외진출을 돕는 정책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 외국인의 직접투자 활성화 차원에서 우수한 외국대학 유치를 통해 캠퍼스 아시아를 조기에 정착시킬 것을 강조했다. 국가브랜드위원회는 G20 정상회의 이후 높아진 국가 위상에 걸맞게 코리아 디스카운트로 당했던 불이익을 코리아 프리미엄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보고했다. 이를 위해 정부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중심으로 외국에 한국을 널리 알리고 한국에 호감을 갖는 코리아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10만명을 확보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정부와 민간으로 구성된 통합봉사단을 양성하고 국제사회 기여도를 높이기 위해 한국의 개발 경험을 전파하는 한국형 ODA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는 다민족 사회로 급속히 전환되는 시기인 만큼 배타성을 낮추고 새로운 세계관 및 국가관을 세우기 위해 초ㆍ중등교육 과정 개편을 주문했다. 또 개도국에 '친한파' 인재 양성을 위해 세계국비장학금을 확대할 것을 제안했다. 녹색성장위원회는 기후변화협상시 선진국과 개도국의 중재자 역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미래기획위원회는 치밀하고 현실적인 대북 통일정책이 필요하고 시스템 반도체 산업 등 미래 일자리 창출에 장기적 집중 투자가 선행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