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재계 사회적 책임 실천으로 보여줘야

재계가 사회적 책임(CSRㆍ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활동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새 정부의 기업친화적 정책에 대한 화답이자 국민들의 신뢰를 얻기 위한 것으로 전경련 회장단 회의에서 결의된 내용이다. 회장단은 “경제 살리기의 핵심 주체인 기업이 지금까지 국민에게 신뢰를 받지 못한 부분이 있었다는 점을 겸허히 받아들인다”며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이라는 본연의 책임은 물론 법적ㆍ윤리적ㆍ사회공헌적 책임을 수행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기업별로 CSR위원회를 만들어 부당 내부거래 및 오너의 부도덕 행위 감시, 사회공헌활동 강화 등을 실천하기로 하고 재계 차원의 기구를 만들어 이행 여부를 감시하기로 했다. 자기반성과 함께 적극적인 CSR 활동을 다짐한 것이다. CSR는 이제 경영의 핵심 요소 중 하나가 됐다. 기업의 첫번째 존재목적은 이윤추구이지만 사회공헌활동을 소홀히 해서는 지속성장이 불가능하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일수록 발전속도가 빠르다는 실증적 연구보고서는 수도 없이 많다. CSR는 사회를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기업 스스로를 위한 것이기도 하다. 재계의 적극적인 CSR 활동은 기업 이미지를 개선시킬 수 있어 반기업 정서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게 틀림없다. 문제는 실천이다. 재계는 그동안 정권이 바뀔 때마다 거의 어김없이 투명경영, 윤리경영, 상생경영, 사회적 책임 등 다양한 용어를 써가며 결의를 다지곤 했다. 위원회 등 전담기구를 설치하고 선포식을 갖는 등 시작은 늘 거창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활동이 유명무실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런 일이 되풀이돼서는 곤란하다. 특히 이번 결의는 새 정부의 친기업 정책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서라도 꼭 이뤄져야 한다. 새 정부는 ‘기업친화적 정부’를 천명했다. 말뿐 아니라 구체적인 조치로 기업불편 해소에 나서고 있다. 그런데 기업이 정도경영과 사회공헌활동을 외면하고 구태의연한 행태를 보인다면 정경유착 시비를 부를 우려가 있다. 그러면 정부의 운신폭이 좁아져 기업친화적 정책이 어렵게 된다. 재계의 이번 결의가 ‘또 하나의 결의’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