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가위 특집] 눈에 이물질 침투…비비지 마세요

물·식염수로 응급처치 각막에 상처주면 안돼<br>균 침투땐 염증생겨 빨리 안과치료 받아야

눈병은 여름철에 유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런 여름철과 달리 추석이 되면 증가하는 안질환도 있다. 평소 찾지 못했던 조상들의 산소에서 벌초를 하거나 밭일을 한 후, 혹은 밤따기를 하다가 실명까지 부르는 경우가 바로 그것이다. 김모씨(45ㆍ남)는 지난해 가을 벌초를 하다가 갑자기 무엇인가 눈 안으로 튀어 들어간 느낌을 받았다.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날수록 눈이 점점 충혈되고 통증이 생기면서 시력까지 떨어져 안과를 찾았다. 진단결과 김씨는 벌초 중에 눈 안으로 들어간 이물질(돌조각)이 검은자(각막)와 수정체를 뚫고 망막에 박혀 있는 상태였다. 수술을 받았지만 이미 손상된 부분은 완전치유가 불가능해 시력은 다치기 전보다 훨씬 떨어졌으며 원상회복은 힘들었다. 김씨와 달리 최모씨(24ㆍ여)는 밤을 따다가 밤 가시에 눈을 다친 사례이다. 그는 심한 통증과 눈물이 나와 바로 안과를 찾아 검은자에 박힌 가시를 제거했다. 하지만 가시가 박혔던 부위에서 염증이 생겨 몇 개월간 각막염 치료를 받아야 했고 각막혼탁으로 시력까지 떨어졌다. 서울대병원 권지원(안과) 교수는 “추석 때는 못을 박거나 벌초를 하다가 이물질이 눈 안에 들어가 병원에 오는 환자가 많다”면서 “무엇인가가 튈 가능성이 많은 작업을 할 때는 눈 보호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물질이 눈 안으로 들어가면 이물질을 빼는 수술을 받아야 하며 눈 어느 부위를 뚫고 들어갔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수술을 받더라도 원상회복이 어렵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는 것이 권 교수의 설명이다. 그는 “들어간 이물질이 눈 안에서 염증을 일으켰다면 매우 심각하다. 경우에 따라 염증이 눈을 넘어 전신으로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안구를 제거해야 하는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수확철이 되어 논밭이나 과수원에서 일하다가 눈에 뭐가 들어가 비비거나, 나뭇가지 등에 눈을 긁힌 후 발생하는 각막염도 많다. 식물이나 토양 등에 의한 각막염은 주로 진균감염(곰팡이균)이며 진균각막염은 서서히 진행하기 때문에 진단이 어렵고 약제에 잘 반응하지 않아 치료도 매우 어렵다. 치료가 잘 된다 해도 각막혼탁이 남아 시력이 저하되며 안구보존과 시력회복을 위해 각막이식을 받아야 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눈에 뭔가 들어갔다고 생각될 때는 비비기 보다는 깨끗한 식염수로(없으면 깨끗한 물로) 씻어내 눈에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제거해야 한다. 권 교수는 “비비면 나오겠지 하면서 비비다가는 오히려 눈에 큰 상처를 내고 이 상처를 통해 균이 침투, 염증을 일으켜 돌이킬 수 없는 악화를 가져올 수 있다”면서 “무엇보다 이물질이 눈에 들어 갔다고 판단되면 바로 안과를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