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심해 무인잠수정 등 해양 R&D 11개 과제 선정

수중 무선통신 시스템 개발<br>제2 남극기지 2014년 완공


국토해양부는 7일 국가 신성장동력으로 잠재성이 큰 차세대 심해용 무인잠수정 개발과 제2 남극기지 건설 등 해양 연구개발(R&D) 중점 추진사업 11개를 선정해 발표했다. 해양 R&D 11대 과제는 ▦해양과학 기초 인프라 구축 ▦미래 첨단 해양과학기술 ▦해양안전 및 환경기술 등 3개 분야의 개발 잠재성, 전지구적 현안인 기후변화 및 해양환경 오염 대응, 미래 녹색 신산업 창출 기여 등을 고려해 선정했다. 해양과학 기초 인프라 구축을 위해 우선 수중무선통신 시스템을 개발, 해양산업화를 통한 수입대체 및 해양방위 산업분야 등 새로운 영역의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이 기술은 심해저 자원 개발과 해양조사는 물론 방위산업에도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수중 유영과 해저보행 기능을 갖춘 차세대 심해용 자율무인잠수정(AUV)도 개발된다. 현재 수심 6,000m까지 탐사할 수 있는 '해미래'는 줄을 매달아 원격조종하는 방식(ROV)이며 AUV는 아직까지 100m의 수심에서만 탐사가 가능하다. 온누리호를 대신할 5,000톤급 첨단 대형해양과학조사선도 오는 2014년까지 건조된다. 온누리호는 20년이나 돼 최신장비를 탑재하기 어려워 정밀탐사가 불가능하고 외국 탐사선을 임차할 경우 외화유출은 물론 국가전략사업이 노출될 우려도 크다. 이어도와 가거도에 이어 내년까지 독도에 지어지는 동해 해양과학기지 구축에도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 기지가 완공되면 해양예보의 정확성 향상 등은 물론 독도에 대한 실효적 지배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동남극 로스해 인접지역인 테라노바베이에 건설되는 제2 남극기지도 2014년까지 완공할 예정이다. 또 미래 첨단 해양과학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해양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공정기술도 개발된다. 차세대 클린 녹색에너지 시대를 개척해 신성장동력을 창출하고 국제 에너지시장의 불안정 해소 및 온실가스 감축이 기대된다. 육상자원 고갈 및 각국의 자원 무기화,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비해 해수에서 리튬ㆍ우라늄 등 전략자원을 추출하는 기술개발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이산화탄소를 바닷속에 매립하는 기술도 개발된다. 이는 기후변화 및 포스트 교토의정서상의 온실가스 감축 요구에 대응하려는 것으로 발전소 등에서 발생한 대규모 이산화탄소를 해양퇴적층에 친환경적으로 저장시키는 기술이다. 국토부는 이 밖에 해양생태계 교란생물 제어기술 개발, 장기 해양생태계 연구, 차세대 해상교통관제(VTS) 기술 개발 등도 수행할 계획이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선정된 과제에 대해 예산투자를 확대해 내실 있는 연구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하고 조기 실용화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