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스포츠를 융·복합 산업으로

문체부, 기술 개발에 87억 투자

프로 활성화 등 10대 과제 마련

정부가 '융·복합화'를 스포츠산업 육성 키워드로 꺼내 들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6일 스포츠산업을 진흥하기 위한 올해 10대 실천과제를 마련해 이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핵심 실천과제로 꼽은 것은 스포츠산업의 융·복합화 촉진. 스포츠와 정보기술(IT)의 융합을 통해 1조7,000억원 규모의 새 시장을 만들어낸 스크린골프와 같은 사례를 만들어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야구 등 가상체험형 스포츠, 착용이 가능한 IT 스포츠 제품, 3D 인쇄 기술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스포츠용품 등과 같은 융·복합 스포츠산업 기술개발에 올해 87억원을 투자한다. 대학과 연계해 스포츠산업과 디자인·IT·관광 등과의 융합형 인재양성 과정도 운영한다. 또 지역의 스포츠산업 기반과 자원을 활용한 융·복합 스포츠산업 진흥사업을 공모해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관련기사



문체부는 프로스포츠 활성화도 실천과제로 삼았다. 프로스포츠 단체들이 기념품 사업 다양화 등으로 자생력을 갖고 하나의 산업 주체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아카데미 운영에도 힘을 보탤 예정이다.

중소 스포츠사업체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73억원 규모의 융자 금리를 현행 4%에서 3%대로 인하해 자금 조달을 돕고 판로 개척 등도 지원하기로 했다.

이외에 △스포츠산업포럼 개최 등을 통한 정보 공유 확대 △대·중소기업 전략적 협력사업 추진 △스포츠산업 전문 일자리지원센터 설치·운영 △민간 체육시설 안전 모니터링단 운영 등 스포츠안전 강화 △스포츠산업 실태·경제효과 등 산업 육성정책 기반 구축 등도 과제에 포함됐다.

아울러 스포츠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스포츠산업 진흥법, 체육시설 설치 및 이용에 관한 법률도 전면 개정하기로 했다.


박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