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업58% “접대비 실명제로 활동위축“

국내 대기업의 절반 이상이 `접대비 실명제`가 기업의 영업활동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대다수(94%) 기업들은 업무관련성 입증대상 기준금액(현행 50만원)을 100만원 이상으로 상향조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25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국내 대기업 300개사(응답 203개사)를 대상으로 `접대비 실명제 관련 기업의견 조사` 결과에 따르면 57.7%는 접대비 실명제로 기업의 영업활동이 위축될 것으로 예상했고, 73.4%는 내수경기 회복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기업들은 업무관련성 입증대상 기준금액(현행 50만원)에 대해서는 66.5%가 100만원 이상이 적정하다고 밝혔으며, 200만원 이상으로 해야 한다는 의견도 27.5%를 차지했다. 접대비 실명제로 접대문화 관행이 어느정도 개선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53.2%가 `긍정적`으로 대답한 반면, 46.8%는 `부정적`이라고 응답해 반응이 엇갈렸다. 접대비 실명제로 인한 기업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접대 상대방의 신분노출 기피(54.7%)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출증빙 관리에 따른 시간 및 비용 부담(34.5%), 접대내역의 외부유출 가능성(9.9%) 등도 주요 애로 사항으로 지적됐다. 한편 접대비 실명제 이후 기업의 평균 접대비 지출액은 9.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접대비 사용이 가장 많이 줄어 든 곳은 유흥주점(44.9%)이었고 고급음식점(19.4%), 골프장(16.5%), 상품권구매(16.2%)가 뒤를 이었다. <문성진기자 hnsj@sed.co.kr>

관련기사



문성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