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이란-파키스탄 천연가스 거래 성사

수송관 건설 합의… 美 반대등 난관도


이란과 파키스탄이 15년 가까이 미뤄오던 천연가스 거래를 맺었다. 하지만 양국의 천연가스 거래에 대해 미국이 반대하는 등 난관이 도사리고 있어 최종 성사까지는 시간이 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17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란과 파키스탄은 지난 16일 터키에서 양국간 천연가스 수송관 건설계약에 최종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계약은 이란이 앞으로 25년간 파키스탄에 하루 7억5,000만 입방피트(약 2,100만 입망미터)의 천연가스를 제공하는 조건으로 성사됐다. 두 나라를 잇는 천연가스 수송관은 올해부터 공사에 들어가며 오는 2014년 완성될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이란과 파키스탄은 지난해 6월 수송관 건설 예비협정을 맺었고 9월에는 천연가스 공급가격에 합의를 이루며 사전준비 작업을 마쳤다. 15년간 지지부진하던 계약이 성사된 것은 최근 두 나라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라고 WSJ은 분석했다. 파키스탄은 에너지 수요의 절반을 천연가스로 충당하지만 최근 자국내 생산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정전사태가 속출, 수급상황 개선이 절실했다. 이란은 미국의 강도 높은 경제제재 탓에 기존 공급지역에의 석유ㆍ천연가스 수출이 크게 제한되어 새로운 판로가 필요했다. 이에 두 나라는 1990년대 중반 처음 논의되었던 육로 수송관을 통한 천연가스 거래를 다시 추진하기로 한 것. 압둘 바시트 파키스탄 외무부 대변인은 "이번 계약은 우리의 합법적인 경제적 이익에 따른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미국의 반대와 방해가 강력한 탓에 두 나라의 천연가스 거래가 최종 성사될 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당초 이번 프로젝트의 또다른 참여자였던 인도가 지난해 최종 이탈한 게 대표적이다. 미국은 인도와 지난 2008년 민간 핵협정을 맺고 프로젝트에서 빠질 것을 종용해 왔다. 또한 이란과 파키스탄이 수송관 건설비용의 분담 등 세부사항에 대한 추가합의가 남아 있는 점도 향후 전망을 어둡게 하는 요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