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가계 소득대비 이자부담 급증

향후 금리 인상되면 이자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

가계소득이 늘고 금리도 낮은 수준이지만 대출이 늘면서 소득대비 이자부담이 최고 수준에 달했다.

22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소득은 355만1,746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7.7% 증가했으나 이자비용은 7만7,522원으로 17.6% 늘면서 소득 증가율의 2배를 넘어섰다. 소득 대비 이자비용 비율은 2.18%로, 월 100만원을 벌면 원리금 가운데 이자만 갚는데 2만1,800원을 지출하는 셈이다.


2분기 이자비용은 물론 소득 대비 이자비용 비율도 해당통계를 조사한 2003년 이후 최고치다. 이에 따라 올해 2분기에 월 100만원을 벌면 이자 갚는 데만 평균 2만2,000원 가량을 쓰면서 향후 금리 인상에 속도가 붙을 경우 이자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관련기사



소득 대비 이자비용은 2분기 기준으로 2006년 1.68%(4만9,888원)에서 2007년 1.75%(5만3,712원)로 상승한 것을 시작으로, 2008년 1.94%(6만3,611원), 2009년 2.00%(6만5,932원)에 이어 올해까지 4년째 상승했다.

통계청이 조사한 이자비용에는 주택자금 대출 이자가 대부분이고 카드 이자도 포함되지만 사업 목적의 가계대출 등은 빠져 있어 실제 이자 부담은 이보다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또 소득에서 사회보험료와 세금 등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을 기준으로 대비한 이자비용 비율은 더 높아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소득 5분위별로 보면 소득 대비 이자비용 비율은 3분위가 작년 2분기 2.15%에서 지난 2분기 2.45%로 상승하며 가장 높았고, 4분위가 2.11%에서 2.23%로, 5분위가 1.79%에서 2.05%로 각각 높아졌다. 특히 5분위가 2%를 넘어선 것은 처음이다. 다만 1분위는 이자비용이 늘었는데도 소득이 17.9% 늘어남에 따라 소득 대비 이자비용 비율이 2.26%에서 2.22%로 낮아졌다. 또 이자비용 증가율이 가장 낮았던 2분위도 2.11%에서 2.10%로 소폭 하락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저금리 상황에서도 이자 비용이 대폭 늘어난 것은 가계대출 규모가 크게 늘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