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나라당 '과거사특위 제안' 사실상 거부

한나라당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제안한 국회 과거사특위는 국론을 분열시킬 우려가 있고, 국정 우선순위에서도 민생.경제에 비해 밀리는 사안이라고 반박하면서 노 대통령의 제안을 사실상 거부했다. 특히 당내 일각에서는 국회 과거사특위 제안이 박근혜(朴槿惠) 대표를 겨냥하는, 정치적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눈길을 거두지 못했다. 박 대표는 이날 "국민을 하나 하나 모아놓고, 분열시키려 하는 경축사가 나온것은 유감스럽다"고 밝혔다고 수행했던 전여옥(田麗玉) 대변인은 전하고 "박 대표의 말은 노 대통령의 국회특위 구성 제안을 사실상 거부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전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화해와 용서로 가는 길은 크고 넓어야 한다"며 "누가 친일청산의 명분을 감히 거부하겠느냐. 문제는 친일청산이 대통령의 통치기반 확충수단으로 무리하게 진행되는 것을 우려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임태희(任太熙) 대변인도 "그동안 여권이 줄곧 주장해온 대로 50년 한국현대사를 한번 통째로 뒤집어 평가하려는 시도가 있는 것 아니냐"며 "국정 우선순위에 대한 시각이 너무 다른 만큼 서로간의 대화가 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형오(金炯旿) 사무총장은 "대통령이 국민통합을 하자는 것인지, 국론분열을 하자는 것인지 의심스럽다"며 "(국회 특위는) 분열과 갈등만 증폭시킬 것"이라고 반대했다. 이한구(李漢久) 정책위의장도 "과거는 국회보다는 역사학자에게 맡길 일"이라며 "국가기관의 불법행위를 따지고 싶다면 오히려 지금 정권하에서 일어나고 있는 국가권력에 의한 인권침해, 불법행위부터 따져야 한다"고 반발했다. 반면 당내 비주류를 자처하고 있는 홍준표(洪準杓) 의원은 "한나라당이 국회특위 구성을 거부할 명분이 없다"며 다소 다른 반응을 보였다. 그는 "대통령의 생각은 유신시대의 인권문제를 주요쟁점으로 다루자는 것"이라며 "한나라당에는 거부할 명분도 없고 답답한 일일 수밖에 없지만, 박 대표가 있는 이상 끊임없이 이런 일이 벌어질 것으로 본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추승호 강영두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