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LG반도체] 차입금 7조원 넘어

LG반도체의 전체 차입금 중 종합금융사 등 제2금융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6%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채권단협의회가 경영주체 선정에 반발, 빅딜을 거부하고 있는 LG반도체에 대한 여신회수 조치에 들어갈 경우 LG반도체는 2금융권의 여신중도상환압력에 의해 심각한 자금압박에 처할 것으로 보인다.25일 관계당국과 금융계에 따르면 LG반도체에 여신을 갖고 있는 1·2금융권의 75개 금융기관(외국계 금융기관 26개 포함)의 지난 10월말 현재 총여신 규모는 미상환 회사채를 포함, 7조5,749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말의 5조8,650억원에 비해 29.15%, 지난 6월말의 6조7,038억원에 비해 12.99%나 증가한 것이다. 금융권별로는 단기성 자금의 비중이 큰 2금융권 여신이 지급보증 등을 포함, 3조5,014억원으로 총차입금의 46.22%에 달했다. 금융계 관계자는 『2금융권의 경우 여신을 주면서 신용사항 등에 변동이 생길 경우 장기성 여신에 대해서도 만기 전 상환을 요구하는 조항을 포함시키고 있어 LG반도체가 만기전 상환요구로 예상 외의 자금압박을 당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은행권의 LG반도체에 대한 신규여신 중단 등으로 LG반도체의 장래에 불안을 느낀 종금사와 보험·투신 등이 기존 여신의 중도상환을 요구할 경우 LG가 금융제재를 피하기 위해 비축한 자금으로도 버티기 힘든 지경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LG반도체는 7개 업종에 대한 반도체 빅딜논의가 본격화된 지난 9월 이후 독자생존에 대비해 사업부문을 매각하고 외자를 유치하는 한편 회사채발행 등을 통해 막대한 자금을 비축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LG반도체는 장기자금을 안정적으로 조달하기 위해 지난 6월말 이후 회사채 발행으로 1조4,450억원의 자금을 조달했고 반도체 빅딜논의가 무르익기 시작한 10월 이후에만도 9,500억원의 자금을 회사채 발행을 통해 비축했다. 지난 6월말 현재 LG반도체의 단기차입금은 1조7,000억원에 달했었다. 한편 LG반도체는 이날까지 경영주체를 선정하지 못할 경우 금융제재에 들어갈 것이라는 금융감독위원회의 경고에도 불구, 『지난 24일까지의 상황과 달라진 게 없다』고 밝혀 현대를 경영주체로 선정한 아서 디 리틀(ADL)사의 결정을 따르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이와 관련, 채권금융단협의회는 오는 28일 회의를 열고 당초 방침대로 LG반도체에 대한 신규여신 중단과 만기도래여신 회수 등의 금융제재 방안을 결정할 계획이다. ◆금융기관별 여신현황 및 성향 LG그룹의 여신현황 특징 중 하나는 담보부족 차입금이 많다는 것이다. 지난 10월말 현재 전체 차입금 중 담보가 부족한 여신은 1조1,518억원이다. 이중 외국계 은행에 대한 담보부족 비중이 높다. 담보가 부족한 금융기관들은 자연히 부실채권이 발생할 것을 우려, 대출금을 조기에 회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금융권의 정설. 신용여신 비중이 큰 종금사들이 기업이 부도 직전에 몰리면 앞다퉈 여신회수에 나서는 것과 마찬가지다. 금융기관별 여신현황을 보면 은행권에서는 외환은행과 산업·조흥은행 등이 가장 많은 여신을 갖고 있으며 보증보험사도 지급보증을 통해 1조7,000억원대의 여신을 보유하고 있다. LG반도체의 여신성향 중 두드러진 점은 외국계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차입금 비중이 높다는 것. LG반도체에 자금을 공여한 해외 금융기관만도 26개로 그 금액은 3,316억원에 이르렀다. 외국계 금융기관은 통상 2금융권과 마찬가지로 여신기업에 문제가 생겼을 때 자금을 상환받을 수 있는 조항(파리바 조항)에 따라 단기에 자금을 상환할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재무제표에 포함되지 않은 현지금융까지 포함할 경우 LG반도체는 외국계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여신상환 압력에 얼마나 대처할 수 있느냐에 따라 생존 여부가 갈릴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정부태도가 변수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채권금융단협의회가 여신제재를 결정할 경우 제2금융권은 만기도래 기업어음(CP) 등에 대한 여신회수에 착수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LG반도체에 대한 단기여신 규모가 미미해 당장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그러나 정부가 강경입장을 천명할 경우는 사정이 달라진다. 중단상환약정이 맺어진 각종 장기여신에 대해서도 앞다투어 자금회수에 착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도 LG반도체 자체의 붕괴까지 원하는 것은 아니므로 무조건 강경자세를 취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과 재벌개혁을 마무리해야 하는 정황을 고려할 때 부작용을 감수하고라도 당초의지를 관철시킬 것이라는 관측이 맞서고 있다. 채권단 관계자도 『LG그룹이 자금비축을 통해 상황여력을 갖췄어도 패닉현상에 따라 금융권의 동요가 발생할 경우 견디기 쉽지 않을 것이다』며 『때문에 여타 계열사에 대한 영향 등을 함께 고려, 정부와 모종의 타협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김영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