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해외 원자력발전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공동으로 수주 전문 기업을 설립한다. 중국, 베트남, 인도 등이 앞 다퉈 원자력발전소 건설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한국,프랑스 등과의 수주 경쟁도 갈수록 치열해 지고 있기 때문이다. 7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도쿄전력 등 공기업과 히타치 등 민간기업들이 공동 출자를 통해 해외 원자력 수주 지원 전문업체 '국제원자력개발(가칭)'을 설립한 후 원전 수주 지원 업무를 전담케 할 방침이다. 도쿄전력, 추부전력, 간사이전력, 도시바, 히타치, 미쓰비시중공업 등 6개사들이 참여해 법인 설립을 위한 준비 기구를 만들었다. 나오시마 마사유키 일본 경제산업장관은 "이 같은 준비 기구 설립은 신흥국 시장에서 민관 협력을 통해 원전 건설 프로젝트를 수주하기 위한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시미스 정 도쿄전력 사장은 "한국은 이미 컨소시엄을 통해 원자력발전을 비롯해 중동의 주요 건설 프로젝트를 장악했으며, 삼성물산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두바이 부르즈칼리파 시공을 맡아 세계를 놀라게 했다"며 "일본도 민관 협력을 통해 중국을 비롯한 해외에서 계약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민관 합동의 원전 수주 지원을 통해 베트남에서 원자력발전 프로젝트 수주에 성공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중국, 베트남, 인도 등은 원전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은 세계 2위의 에너지 소비국이지만 가동중인 원자로가 11기에 불과하다. 원자력 발전을 통해 생산되는 전기는 9.1기가와트(GW)로 중국 전체 전력생산량의 1%에 불과하다. 중국에는 저장성의 친산, 광둥성 다야완, 장쑤 톈완 등 3곳에 원자력발전소가 있다.중국 정부는 오는 2020년까지 원자력 발전을 통한 전력생산량을 70∼80GW 수준으로 확대해 전력 공급 기여도를 5%로 높일 방침이다. 베트남도 오는 2030년까지 모두 13기의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 15기가와트 규모의 전력을 생산할 계획이다. 이밖에 태국, 인도네시아 등도 원전 건설을 검토중이다. 인도도 엄청난 원자력 발전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인도 원전 시장 진출을 위해 최근 인도와 원자력발전 협력 회의를 가졌다. 한편 국제원자력개발 설립 준비기구는 오는 10월께 회사설립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국제원자력개발은 원전 관련 교육 및 법령 정비 지원, 민관 협의 등의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한국 기업 컨소시엄이 지난해 말 아랍에미레이트 원자력 발전 프로젝트 수주 경쟁에서 승리를 거두자 일본은 물론 프랑스에서도 원전 수주를 위해 민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프랑스 정부는 원전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민관 협력 강화 방안을 담은 보고서를 준비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