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천안함 결과 보고서, UN 안보리에 회부

절단면 입체사진 美에 분석 의뢰

정부가 천안함 침몰사건의 조사결과가 담긴 정식 보고서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P5)인 중국과 러시아에 전달하고 안보리에 회부하는 문제를 검토하기로 했다. 또 천안함 절단면의 입체사진은 미국에 보내 분석하도록 할 계획이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28일 “조사결과가 나오면 정식 보고서를 만들어 중국과 러시아에 전달할 방침”이라며 “현재로서는 결정적 물증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꼭 그렇지 않더라도 일정한 증거가 나오면 관련국들 사이에 유엔 안보리 회부 문제가 논의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과 러시아는 조사에 참여하지 않고 있고 안보에 대한 이해가 다르기 때문에 사전에 충분히 설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부의 이 같은 방침은 북한의 소행임을 100% 입증할 물증이 확보되지 않더라도 어뢰 공격 등이 확인되는 일정한 증거가 나오면 이를 안보리로 가져가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정부는 이와 함께 조사결과를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들에 보내 국제사회의 이해와 동의를 구하는 작업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대응방안의 경우 군사적 조치까지 포함한 모든 옵션을 놓고 부처 간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이 소식통은 전했다. 군당국은 한편 절단면의 입체사진을 미국에 보내 분석하도록 할 방침이다. 원태재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절단면을 촬영하고 분석하는 미국의 기술 수준이 우리보다 한 단계 높아 미국에 사진 분석을 의뢰할 계획”이라며 “미국이 상당히 우수한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입체사진은 노퍽과 애나폴리스 등 미국 동부의 해군 전문분석시설로 보내질 것으로 전해졌다. 비접촉 수중폭발을 일으킬 무기체계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데 국방부는 천안함의 침몰원인이 과거 우리 군이 백령도 해역에 설치한 기뢰가 아니라는 사실을 민간폭발물 전문업체의 분석을 토대로 재차 밝혔다. 원 대변인은 “지난 1970년대 우리 군이 백령도 해역에 설치한 기뢰의 폭발 가능성 여부를 민간 폭발물 전문업체(한국화약)에 의뢰했다”면서 “당시 기뢰를 설치한 백령도 해역 해도를 확인한 결과 천안함이 침몰한 지역이 아니었고 기술적으로 폭발할 가능성이 없다는 내용을 알려왔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