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정동영 신당 대선 후보의 과제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대통합민주신당의 경선은 정동영 후보의 승리로 끝남에 따라 12월 대통령선거를 위한 1차 관문은 통과한 셈이지만 문제는 지금부터다. 서로 낯을 붉힐 만큼 진흙탕 싸움을 한 터라 당내 화합부터 어려움이 예상된다. 경선 후보자들은 승복할 것으로 보이지만 경선과정에서 불거진 동원선거와 대통령 이름 도용 등의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후유증이 한동안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신당 경선은 한마디로 흥행에 실패했다. 10%대의 투표율이 이를 말해준다. 급조된 신당이 급조된 경선으로 당과 후보의 낮은 지지율을 만회하려고 무리를 하다 보니 국민의 외면을 받았다. 선거인단 모집으로 이를 해결하려 했으나 예비경선 과정에서 후보자의 득표순위를 뒤바꿔 발표한 것을 비롯해 부정시비와 후보자의 토론불참 등으로 당과 후보의 위상을 스스로 떨어트린 것이 신당 경선의 성적표다. 대통령선거까지 두 달 남았다. 경선기간 동안 분열된 당을 하나로 묶고 공약을 다듬기엔 시간이 너무 촉박하다. 우선 화합부터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양보하고 국민을 무서워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경선이 신당창당처럼 국민의 외면을 받은 것은 오만과 독선 때문이란 반성에서부터 새 출발해야 한다. 국민을 두려워하지 않고 경선과정처럼 이전투구의 싸움을 하거나 분열된다면 신당은 설 자리가 없게 된다. 당이 화합해 선출된 후보 중심으로 뭉치더라도 범여권 후보 단일화란 파고를 넘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한나라당 후보가 높은 지지율로 앞서가고 있어 후보 단일화문제로 정국이 요동칠 가능성이 높다. 신당은 후보가 선출되자마자 단일화 소용돌이에 휘말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신당은 급조된 당으로서 당의 정체성 확립 등 자체 선거준비를 하는 것이 시급하다. 선거준비부터 한 후 단일화에 대비하는 것이 올바른 순서다. 한반도 정세가 급박하게 돌아가는 상황에서 불행히도 다음 선거도 이념 및 지역대결의 양상이 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책임정당으로서 망국적인 지역대결 등으로 나라가 분열과 혼란에 빠지는 것을 막는 것이 국민 참여형식을 취한 경선의 뜻을 살리는 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