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베트남도 최저임금 인상 추진

치솟는 물가따라 10월부터

태국에 이어 베트남도 최저임금이 인상된다. 이미 지난 5월 공무원과 국유 기업 직언에 대한 최저 임금을 인상한 베트남 정부가 후속조치로 일반 근로자들의 최저임금 인상을 추진한다. 블룸버그와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은 13일 현지 언론들의 보도를 인용해 베트남 정부가 내·외국인 기업 근로자의 최저임금을 똑같이 적용하도록 하는 최저임금방안을 마련, 오는 10월부터 추진한다고 보도했다. 인상안은 10월10일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모두 4개의 권역별로 구분된 인상안은 수도 하노이와 남부 호찌민 등 대도시가 포함된 제1권역 근로자의 최저임금은 200만동(10만5,000원)으로 인상된다. 또 제2, 3, 4권역은 각각 178만동(9만2,000원), 155만동(7만9,000원), 140만동(7만2,000원)으로 각각 오른다. 제1권역은 하노이와 호찌민 외에도 다낭, 붕따우, 빈즈엉, 꽝닌, 동나이 등이다. 제2권역은 껀터, 하이퐁, 빙푹, 타이응웬, 떠이닝, 롱안, 안장, 까마우 등이다. 나머지 제3권역과 제4권역은 생활 물가가 비교적 싼 오지가 대부분이다. 현재 내국인 업체의 최저임금은 지역에 따라 83만동(4만3,000원)∼135만동(7만원)이며, 외국인 업체는 110만동(5만7,000원)∼155만동(8만원)이다. 베트남정부가 최저임금을 인상하는 것은 베트남의 살인적인 물가 때문이다. 치솟는 물가에 국민들이 대처할 수 있도록 최저임금을 올리는 것이다. WSJ는 "높은 인플레이션은 빠른 경제성장을 지향하는 베트남 정부가 앓고 있는 골칫거리"라며 "특히 치솟는 물가 상승으로 나라의 통화인 '동'에 대한 신뢰가 점점 떨어져 영구적인 무역적자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베트남에 앞서 최저임금 인상안을 발표한 태국도 내년 1월부터 최저임금의 수준을 현재 50% 올릴 예정이어서 물가상승으로 생활고에 시달리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최저임금 인상이 잇따를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