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근로자가 상대적으로 열악한 작업환경 탓에 질병에 걸리는 비율이 정규직에 비해 많게는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이들 중 75%가 보험혜택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사회안전망 확충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20일 김형주 열린우리당 의원이 공개한 ‘비정규직 근로자의 건강실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고용형태별로 건강수준 분포를 조사한 결과 파견근로자의 54%가 ‘건강이상’을 호소했다. 또 정규직과 시간제근로자의 경우 각각 40%가, 일반임시직은 36%가 신체적 이상증세를 자각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산업안전공단이 지난 2003년 12월부터 2004년 5월까지 6개월 동안 5인 이상 사업장 중 1,500개 제조업체, 1,000개 비제조업체 근로자 총 1만2,739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신체가 불편한 부위의 숫자도 파견근로자의 평균치가 0.95곳으로 조사돼 정규직 0.66곳, 시간제 0.64곳, 도급근로자 0.63곳, 일반임시직 0.57곳에 비해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근골격계 질환의 경우 파견근로자의 36%가 고통을 호소한 데 비해 정규직은 14%만이 해당 통증을 자각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직무와 관련된 근로자들의 스트레스를 지수화한 결과 파견근로자가 -0.46점으로 업무에 대한 책임감을 많이 느끼는 정규직(-0.01)에 비해 심리적 압박을 적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