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Y2K 인증] 문제많다

「한국Y2K인증센터가 내주는 Y2K인증은 과연 믿을만 한가」컴퓨터 2000년 연도 표기 문제(Y2K)의 해결 여부를 객관적으로 판정해주는 국내 Y2K 인증제도의 공신력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인증업무를 맡고 있는 한국Y2K인증센터의 핵심 인력인 「Y2K 인증 심사관」과 「인증위원회」의 구성 방식과 구성원들의 소속·자질이 상당한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인증업무가 공신력을 얻으려면 당연히 심사관이 공정해야 한다. 그러나 한국Y2K인증센터의 심사관은 대부분 민간업체 소속이다. 심사를 받을 수도 있는 입장에 있는 사람들이 오히려 심사 업무를 맡고 있는 셈이다. 더구나 심사관이 되는 과정에서 별도의 자격 시험과 같은 검정 절차가 없다. Y2K인증센터가 실시하는 소정의 교육만을 마치면 바로 심사관으로 지정돼 자질에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처럼 심사관 구성 방식이 허술함에 따라 심사관들이 서로 상대방 회사를 봐줄 수도 있는 등 Y2K 인증업무 자체가 부실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심사관이 민간업체 소속이어서 마음먹기에 따라 특정회사의 중요한 정보를 빼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형편이다. 인증위원회는 심사관의 현장 심사를 토대로 인증 여부를 최종 판단한다. 그러나 인증위원회의 구성 방식에도 문제가 많다. 위원 대부분이 Y2K 실무에 약한 대학 교수나 각 정보통신협회 단체장으로 구성돼 있다. 따라서 최종적인 인증 판정이 사실상 형식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인증센터는 이에 대해 『심사 요청이 들어오면 한 업체당 5명의 심사팀이 파견된다. 서로 다른 업체 소속의 심사관 5명이 교차로 심사하기 때문에 부정이 개입할 여지는 없다』고 해명했다. 인증센터는 또 『인증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인증위원을 이름있는 인사들로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정작 심사관들은 인증업무의 문제점을 스스로 인정하고 있다. 한 심사관은 『최근 S사 등 3개업체에 Y2K 인증서를 처음 발급하면서 센터 내부에서 관계자들끼리 설전을 벌이느라 인증서 발급이 당초 예정보다 10일 이상 지연되는 등 벌써부터 문제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업계 한 전문가는 『앞으로 Y2K 인증에 따른 대내외 공신력이 기업의 존폐를 가를 수도 있다』며 『제도 보완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제도 보완이 늦어질 경우 국내 인증을 외면하고 외국 평가기관으로부터 인증을 획득하려는 기업이 늘어날 것』이라고 덧붙였다.【이균성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