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외국계 CEO “한국 투자환경 불만”

최근 한국 투자에 대한 해외 시각이 갈수록 싸늘해지고 있는 가운데 민간 외국인 투자가들은 물론 주한 외교사절마저 한국경제에 대한 우려감을 잇달아 표시, 충격을 주고 있다. 또 한국에 진출한 외국계 기업의 CEO(최고경영자)10명 중 4명은 한국의 외국인 투자 환경에 강한 불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LG카드 등 일부 카드사의 유동성 위기, 검찰의 비자금 수사 등을 조속히 매듭짓지 못할 경우 한국의 해외 신인도 하락마저 우려된다. 대한상공회의소 주최로 26일 서울 힐튼호텔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04년 한국경제설명회`에 참석한 외국공관원 80여명은 한국의 현 경제 상황에 대한 우려감을 우회적으로 나타났다. 이날 김중수 KDI 원장과 최낙균 KIEP 무역투자실장은 각각 `한국경제현황과 2004년 전망`과 `한국의 대외교역 전망`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한국경제가 내년에는 개인 소비 증가와 견고한 수출 상승에 힘입어 4.8% 성장을 이룩할 것”이라고 말했으나 외국 공관원들의 반응은 싸늘했다. 이들은 `카드사 유동성 위기`(페르난도 쉬미드트 칠레 대사), `한국의 산업 공동화`(라우리 코르피넨 핀란드 대사), `저조한 국내 소비`(칼빈 에유문후) 등에 대한 정부 대책이 무엇인지 잇달아 물었다. 특히 데수쿠에 프랑수아 프랑스 대사는 “내년 경제 성장률 4.8%는 너무 낙관적”이라며 “(최근 정치적인 상황이나 노사관계 등을 고려해) 이를 수정할 용의는 없는가”라고 되물었다. 이는 이들이 평소에 간접 화법을 주로 구사하는 외교관이라는 신분임을 감안하면 이례적으로 것으로 풀이된다. 상의 관계자는 이에 대해 “최근의 한국 정치상황이나 금융 시장 요동 등에 대한 해외 시각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라며 “검찰 수사 등을 조기에 끝내지 않을 경우 해외 신인도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세계경영연구원에 따르면 한국 주재 외국계 기업 CEO 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43.8%가 한국의 외국인 투자 환경을 AㆍBㆍCㆍD 등 4등급 중 최하위인 `D`급으로 평가했다. 반면 `A`급이라는 대답은 한명도 없었고, `B`급은 15.6%, `C`급 34.4%, 나머지 6.2%는 응답하지 않았다. 또 외국계 CEO의 65.6%는 `노사 갈등`을 한국에 투자를 머뭇거리게 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꼽았다. 이들은 `한국 경제의 발전을 가로막는 요인`으로도 `노사관계의 불안`을 1순위(46.9%)로 꼽았으며 다음으로 정부와 기업의 지배구조 불투명성(43.8%)이라고 응답했다. <최형욱기자, 한동수기자 choihuk@sed.co.kr>

관련기사



최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