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대화정치 물꼬 튼 영수회동

이명박 대통령과 손학규 민주당 대표의 회동 결과가 국민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다. 3년 만에 2시간 넘게 민생현안 타결을 위한 의견을 나눴지만 시각차를 좁히지 못했기 때문이다. 가계부채 문제와 저축은행 사태, 일자리 창출에는 서로 공감했지만 구체적인 실천방안에 대해서는 접근하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 특히 최대 현안인 대학등록금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 처리 등에 대해서는 입장만 확인하는 수준에 그쳤다. 그러나 대립에서 벗어나 대화정치의 물꼬를 텄다는 점은 성과라 할 수 있다. 이번 영수회담이 관심을 모았던 것은 경제난, 특히 서민들의 삶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에 여야 대표의 만남을 통해 어떤 좋은 대안이 나올 수 있을까 해서였다. 청와대와 민주당이 회담에 앞서 여러 차례 조율을 거쳤지만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하는 데는 실패했다. 국민을 위해 주요 현안에 대한 합의가 이뤄졌더라면 이 대통령은 집권 후반기 국정장악력을 높일 수 있었을 것이고 손 대표도 차기 대선주자로서 입지를 키울 수 있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이번 회담이 대통령과 제1야당 대표 간 만남으로는 거의 3년 만에 이뤄진 것으로 그동안 여야관계가 냉랭했던 점을 감안할 때 신뢰구축의 첫걸음을 내디뎠다는 점은 의미가 있다. 청와대가 "대립을 피해 대화정치를 시작했고 향후 난제들에 대해 언제든지 만나 논의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고 밝히고 민주당도 "민생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했다"고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특히 저축은행ㆍ가계부채 및 일자리 창출 등 구체적인 방안도출에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상대적으로 덜 민감한 이들 문제에 대해 공감의 폭을 넓힌 것은 성과라 할 수 있다. 가계부채와 저축은행 등에 대한 정부 대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야 영수회담으로 상호신뢰의 발판은 어느 정도 구축된 셈이다. 이런 신뢰를 바탕으로 여야정 협의를 통해 이견을 보이고 있는 대학등록금 인하나 한미 FTA에 대해 서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노력이 필요하다. 여야 모두 정략적 계산에서 벗어나 경제를 살리고 서민의 생활고를 덜어주는 데 뜻을 모아야 한다. 영수회담을 계기로 민생현안 해결을 위한 여야 간 대화와 협력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