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11월 1일] 안전문화 정착이 지속가능경영 초석

우리나라는 지난 20세기 후반부터 급속한 산업화를 통해 세계 14위의 경제대국으로 발돋움한 데 이어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개최국 자리까지 올랐다. 이러한 눈부신 성장 속에서 산업안전의 수준은 과연 얼마만큼 성장했을까. 안타깝게도 우리나라는 아직 ‘산업재해 공화국’이라는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2009년 국내에서 무려 9만7,821명이 산업재해로 부상을 입었으며 2,181명이 목숨을 잃었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보고서에서는 2006년 기준 우리나라의 산재사망자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로 2위인 멕시코에 비해 2배 이상 높았으며 사망자율이 가장 낮은 영국에 비하면 30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산업안전보건의 후진성은 과거 속도만을 중시한 불균형성장 속에서 안전의식은 성장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높아진 경제력만큼 국격을 높이기 위해서는 산업재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현실에 대한 심각한 반성과 대책이 필요하다. 기업은 인간이나 기계의 과오가 있더라도 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장치를 확실하게 구축할 의무가 있다. 이를 위해 기업은 공정안전관리(PSM), 공동안전관리운동(JSA), 위험성 평가 등을 통해 잠재된 위험요소를 끊임없이 발굴, 제거하는 한편 안전작업 표준절차 수립과 다양한 점검 프로그램 운영으로 근로자의 안전과 생산성 향상을 동시에 이루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사고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사고자의 불안전한 심리와 행동에서 기인된 사고가 비일비재하다. 사고를 유발하는 인간의 두 가지 심리특성은 최소의 에너지로 목표를 달성하려는 ‘간결성의 원칙’과 돌발사태 발생시 주의가 일점에 집중돼 판단이 정지되는 ‘일점집중현상’이다. 이런 실수는 근로자 개개인의 안전의식이 완전하게 습관화돼야만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전’과 ‘일의 능률’이 반비례한다고 생각하는 현장의 풍토가 바뀌어야 한다. 안전문화의 정착은 근로자의 행복한 삶뿐 아니라 기업에는 손실액 감소와 생산성 향상을 통한 지속가능경영의 초석이 될 수 있다. 이는 결국 국가의 내실을 튼튼히 하고 브랜드 가치를 높여 진정한 선진국으로 도약할 발판을 마련해줄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