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갈등을 겪던 ㈜코오롱이 파국을 면하게 됐다. 노조와 회사측 모두 한발씩 양보하면서 ‘임금 감축을 통한 감원 최소화’라는 원칙에 합의했다.
임금을 15% 깎는 대신 구미공장의 감원인원을 당초(304명)보다 201명 줄일 수 있게 됐다. 노조는 노조원 전체의 고통분담을 통한 감원 최소화라는 명분을 얻었고 사측은 경비절감이라는 실리를 잡았다.
이번 코오롱 노사갈등은 파업 없이 협상이 진행돼 경제적 손실은 없었지만 협상 과정에서 노사가 모두 감정에 큰 상처를 입었다. 이번 사태는 회사측이 경영악화로 비상경영이 불가피하다며 감원을 단행하자 노조가 반발하면서 일이 확산됐다.
사실 코오롱이 신성장사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나선 소재 부문은 아직 초기 단계인 탓에 경영실적이 만족스럽지 못하고 섬유 부문 역시 원자재가격 인상과 산업 사양화 등의 악재로 성과가 신통치 않다.
하지만 설 연휴를 앞두고 노사 모두 파국만은 피하자는 데 인식을 같이하면서 극적으로 타결을 이끌어냈다. 지난주 말부터 수차례에 걸쳐 밤 늦게까지 이어진 협상 과정에서 사측은 “감원의 폭을 줄이되 경비절감을 위해서는 임금을 줄일 수밖에 없다”는 카드를 빼들었고 노조가 이에 동의하면서 합의가 이뤄졌다.
코오롱의 이번 노사협상 과정은 국내 산업계 전반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올해 국내 대다수 기업들이 코오롱과 마찬가지로 미래 신성장사업 발굴을 핵심경영과제로 외치며 사업구조조정 추진의 고삐를 죄고 있기 때문이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한 관계자도 “신사업으로의 기업 체질 개선은 필연적으로 사양사업 부문의 설비ㆍ투자 축소에 따른 감원과 신규사업 추진에 따른 경영부실 위험 발생이라는 부담을 떠안기게 된다”고 우려했다.
따라서 올해도 원만한 노사관계가 재계의 최대 화두로 떠오를 수밖에 없다. 산업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경영자들은 지속적인 임직원의 재교육을 통해 사양사업 부문을 정리하더라도 해당 인력들을 최대한 신규사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해 감원충격을 줄이고 사업 다각화가 방만한 부실경영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업종 사양화의 위기에 몰려 급급하게 사업구조조정을 추진하는 우를 범하지 않고 호황일 때 다음 세대를 대비하는 지혜다. 그런 점에서 한발 앞선 준비경영으로 일본 도레이그룹을 화섬업계 굴지의 기업으로 키워낸 마에다 가쓰노스케 회장의 “리스트럭쳐링(restructuring)은 호황기에 해야 한다”는 지론에 귀를 기울여볼 필요가 있다.